보잉 747-8 로 이르면 2023년 교체… 핵폭발 충격파 방어·적 레이더 교란장치 등 최첨단 기능 탑재
“사람들이 나에게 대통령으로서 가장 큰 특권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나는 주저 없이 ‘에어포스원’(미국 대통령 전용기)이라고 답한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주 백악관에 모인 귀빈들에게 자신의 에어포스원 사랑을 가감 없이 드러냈다. 다른 전직 대통령들도 에어포스원에 대한 그리움을 종종 표현한다. ‘미국 대통령 제1의 특권’ 에어포스원이 이르면 2023년에 더욱 크고 빠른 기종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오바마 “美대통령 제1의 특권”
미국 국방부는 다음주에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과 신형 에어포스원 제작을 위한 1차 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형 에어포스원은 보잉의 747-8 모델을 개조해 만든다. 747-8은 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 에어버스의 A380 기종과 함께 네 개의 제트 엔진을 갖추고 있다. 신형 에어포스원에는 공중 급유, 핵폭발로 인한 전자기 충격파 방어, 열감지 미사일 회피, 적 레이더 교란장치 등의 최첨단 기능이 장착된다.
에어포스 원 구매를 위해 공군은 내년도 예산으로 1억 200만 달러(약 1142억원)를 요청했으며, 그 뒤 5년간 30억 달러를 추가 요청했다. 보잉 747-8의 가격은 3억 6000만 달러이지만, 여러 최첨단 기능을 탑재하다 보면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늘 수밖에 없다.
날아다니는 백악관인 에어포스원에 대한 애정이 지극한 오바마 대통령은 아쉽게도 신형 에어포스원의 주인이 되지는 못한다. 일러야 2023년에 완성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현재 당내 대권 경선 후보들이 차기 대통령이 된다고 하더라도 재선에 성공해야 신형 에어포스원의 특권을 누릴 수 있다.
●美공군, 구매 위해 30억불 예산 요청
에어포스원은 제작뿐만 아니라 운행하는 데도 많은 비용이 든다. 1번 운행하는 데 약 18만 달러가 소요되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대통령이 에어포스원을 정치적 홍보 또는 개인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 비판적이다. 그러나 정치권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도 에어포스원은 단순한 비행기가 아닌 ‘국가의 상징‘이다. 미국 공군박물관의 역사학자 제프 언더우드는 “에어포스원은 모든 미국인을 대표하며, 우리 공화국의 상징”이라면서 “국민들은 에어포스원을 미국 대통령이 아니라 미국의 상징으로 간주한다”고 말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5-10-2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