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앨라배마·미시간·텍사스주 “시리아 난민 안받는다”

美 앨라배마·미시간·텍사스주 “시리아 난민 안받는다”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15-11-17 02:44
수정 2015-11-17 02: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앨라배마 주와 미시간 주,텍사스 주가 파리 테러 이후 시리아 난민의 주(州) 내 정착을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는 프랑스 파리에서 테러를 자행한 용의자 중 일부가 유럽으로 온 시리아 난민으로 가장해 침투했다는 보도가 잇따른 데 따른 조처다.

 16일(현지시간) 미국 언론에 따르면,릭 스나이더 미시간 주지사와 로버트 벤틀리 앨라배마 주지사는 각각 전날 성명을 내고 시리아 난민의 주 내 정착을 중단 또는 거부하겠다고 발표했다.

 두 주지사 모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이민 정책에 강경하게 반대하는 공화당 소속이다.

 스나이더 주지사는 미국 국토안보부가 시리아 출신 난민의 미국 수용 절차를 완벽하게 검토하기 전까지 난민 수용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미시간 주의 풍부한 이민 역사를 자랑스럽게 여긴다”면서도 “미시간 주민을 보호하는 게 최우선 목표”라고 덧붙였다.

 미시간 주는 중동에서 온 무슬림이 미국에서 가장 많이 모여 사는 지역 중 하나다.디트로이트 시 인근 햄트래믹 시에서는 이달 초 미국 최초로 무슬림이 과반을 차지한 시의회가 탄생하기도 했다.

 스나이더 주지사는 9월에만 해도 연방 정부와 시리아 난민 수용을 논의 중이라며 열린 자세를 보였으나,파리 테러 이후 태도를 180도 바꿨다.

 벤틀리 주지사 역시 앨라배마 주를 직접 겨냥한 테러 위협은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테러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할지라도 주민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겠다”며 시리아 난민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2011∼2014년 사이 이라크와 소말리아 등에서 온 난민 381명이 앨라배마 주에 정착했다.

 앨라배마 주에 둥지를 튼 시리아 출신 난민은 1명에 불과하다.이는 루이지애나 주와 조지아 주,테네시 주 등 앨라배마처럼 남부에 속한 주가 시리아 난민을 제법 받아들인 것과 큰 차이를 보인다.

 대통령 선거를 위한 공화당 경선에 출마한 보비 진달 루이지애나 주지사도 파리 테러 직후인 14일 백악관에 성명을 보내 “파리에서와 같은 참사가 이곳에서는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면서 루이지애나 주가 얼마나 많은 시리아 난민을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공개로 따졌다.

 루이지애나 주에 정착한 시리아 난민은 14명이다.

 공화당 인사인 그레그 애보트 텍사스 주지사도 16일 오전 오바마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파리 테러 용의자 중 시리아 난민이 일부를 차지했다”면서 “시리아 출신 어떤 난민도 수용하지 않겠다”며 수용 거부 대열에 가세했다.

 일부 주의 시리아 난민 수용 거부 방침에도,오바마 행정부는 시리아 난민을 계속 받아들이겠다는 태도를 견지했다.

 이날 터키 안탈리아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행한 기자회견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16일 “난민의 면전에서 문을 세차게 닫는 것은 미국의 가치에 어긋난다”면서 “난민 심사를 더욱 강화해 시리아를 포함한 더 여러 국가의 난민을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또 난민 심사 과정에서 종교도 고려해야 한다는 일부 정치권 인사들의 주문에 대해 “부끄러운 일”이라며 “미국적이지 않다”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벤 로즈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도 15일 NBC 방송의 ‘미트 더 프레스’에 출연해 난민 수용 심사 과정에서 테러리스트와 같은 극렬분자를 걸러낼 수 있다면서 난민 수용을 중단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일간지 워싱턴 포스트는 미국 헌법에 따르면,난민 수용과 통제,분산에 대한 권한 대부분은 연방 정부에 있고,각 주 정부는 제한된 권한만 행사한다고 소개했다.

 오바마 연방 행정부의 시리아 난민 수용 지속 방침에 일부 주지사가 안전을 이유로 반기를 들면서 앞으로 첨예한 갈등을 예고했다.

 2011년 내전 발발 후 400만 명이 넘는 시리아 난민이 생존을 위해 다른 나라로 탈출했다.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난민 사태다.

 난민 대부분이 유럽으로 터전을 옮겼거나 지금도 이주하는 상황에서 미국은 2016 회계연도에 시리아 난민을 1만명 이상 수용하겠다고 지난 9월 발표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