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금리동결… 3월 인상도 힘들 듯

美연준 금리동결… 3월 인상도 힘들 듯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6-01-28 23:56
수정 2016-01-29 04: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 악재·유가 폭락 등 반영

“세계 경제·금융 움직임 점검”

“3월 0.25%P 인상 가능성도”

지난달 7년 만에 ‘제로금리’에서 벗어난 미국 기준금리가 올해 처음 열린 금리 결정 회의에서 동결됐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는 26~2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현 기준금리인 0.25~0.50%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성명에서 “경기가 전반적으로 회복되고 있고 물가도 중기적으로 2%에 올라서고 경제활동 역시 완만한 확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한 뒤 “세계 경제와 금융의 움직임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며 그것이 미 고용시장과 물가에 미칠 영향을 평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의 이번 금리 동결은 시장에서 대체로 예상했던 것으로, 중국발 악재와 유가 폭락 등으로 인한 금융시장의 혼란 등 대외적 위기 요인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연준이 세계 경제·금융 움직임을 점검하겠다고 밝힌 것은, 최근 상황이 고용·물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당수 전문가가 새해 벽두부터 시작된 글로벌 금융시장의 동요가 연준의 금리 인상 때문이라고 지적하면서 연준이 이에 부담을 느꼈다는 관측도 있다.

이와 함께 연준은 이날 성명에서 제로금리 시대를 마감한 뒤 경기가 회복되고 있지만 경제 성장은 다소 둔화됐으며 유가 폭락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물가도 낮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히는 등 향후 금리 인상 전망을 어둡게 했다. 시장에서는 3월 차기 정례회의에서도 금리 인상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분석이 많다.

AP는 “연준이 이날도 금리 인상은 점진적이 될 것이라고 거듭 밝히면서 일부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2차례의 소폭 인상을 예상한다”고 전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2개월 후에 열릴 정례회의에서 경제 상황 평가에 따라 0.25% 포인트 정도의 추가적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6-01-2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