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해병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방문 첫 공식 일정으로 28일(현지시간) 미 버지니아주 콴티코 해병대박물관의 ‘장진호 전투 기념비’를 참배하는 모습을 약 30분간 페이스북으로 생중계했다. 장진호 전투 기념비 앞에 도착하는 장면부터 로버트 넬러 해병대 사령관을 비롯해 장진호 전투 참전 용사들과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헌화 후 양국 국기에 경례하는 장면, 양국 국가를 부르는 모습 등이 그대로 담겼다. 넬러 사령관의 축사와 문 대통령의 헌화 기념사도 그대로 전달됐다. 이 영상은 29일 0시 현재 22만명이 시청했다.
장진호 전투는 1950년 겨울 함경남도 장진호에서 미 해병1사단 1만 5000여명과 국군 3000여명이 북 측의 임시 수도인 강계 점령 작전을 수행하던 중 중국군 9병단(7개 사단 병력·12만명 규모)에 포위돼 전멸 위기에 처했다가 2주 만에 극적으로 포위망을 뚫고 철수한 전투이다. 기념비는 8개의 판(板)으로 둘러싼 2m 높이의 팔각형 기단 위에 장진호 전투를 상징하는 ‘고토리의 별’을 올린 형태이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장진호 전투는 1950년 겨울 함경남도 장진호에서 미 해병1사단 1만 5000여명과 국군 3000여명이 북 측의 임시 수도인 강계 점령 작전을 수행하던 중 중국군 9병단(7개 사단 병력·12만명 규모)에 포위돼 전멸 위기에 처했다가 2주 만에 극적으로 포위망을 뚫고 철수한 전투이다. 기념비는 8개의 판(板)으로 둘러싼 2m 높이의 팔각형 기단 위에 장진호 전투를 상징하는 ‘고토리의 별’을 올린 형태이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06-3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