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끔찍하다’는 트럼프와 달리, 美곡물협회 “한국은 큰 고객” 옹호

‘FTA 끔찍하다’는 트럼프와 달리, 美곡물협회 “한국은 큰 고객” 옹호

한준규 기자
입력 2017-07-16 22:12
수정 2017-07-17 0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관세 쿼터로 사료 수출 늘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농업단체인 곡물협회(USGC)가 한·미 FTA의 순기능을 높이 평가했다.

칩 카운셀 미 곡물협회 회장은 최근 발간된 미 농업 전문매체 ‘피드스터프’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미국 농업의 큰 고객이자 충실한 파트너”라면서 “미국 곡물업계에서 한국은 시장 개발의 거대한 성공 스토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도 뛰어난 품질의 사료와 관련 제품을 꾸준히 공급해 온 미국 옥수수업계의 헌신을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 FTA로 한국으로 수출되는 옥수수와 수수 등 곡물류에 11만 5000부셸(8갤런)까지 무관세 쿼터가 적용되면서 미국은 사료 수출이 늘었고, 한국은 미국의 질 좋은 사료로 소나 돼지를 키우면서 사육 마릿수가 증가했다는 얘기이다. 카운셀 회장은 “미국 농가와 농업 관련 기업은 한·미 FTA가 발효한 이후 상호 호혜적인 무역협정의 가치를 평가해 왔다”고 강조했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한·미 FTA 공동위원회 특별회기의 개최를 우리에게 공식으로 제안한 이후 농업과 제조업을 포함해 미국 업계에서 FTA와 관련된 입장을 내놓은 것은 처음이다. 다만, 사료용 곡물 수출 농가가 주축이 된 곡물협회는 쌀, 육류 등 일반 농산물과 축산물을 수출하는 농업계와는 이해관계가 다소 다르다. 미국 정부는 쌀과 과일 등 농산물 시장의 개방 확대를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우리 정부는 ‘쌀을 포함, 일반 농산물은 재협상 테이블에 올리지 않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07-1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