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판 블랙리스트?… 킹 목사에 공산주의 덫 씌우려 한 FBI

미국판 블랙리스트?… 킹 목사에 공산주의 덫 씌우려 한 FBI

한준규 기자
입력 2017-11-05 22:16
수정 2017-11-05 22: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케네디 암살 문서 추가 공개…FBI 킹 목사 음해공작 확인

1960년대 미 연방수사국(FBI)이 흑인 인권운동가 마틴 루서 킹 목사의 음해공작에 나섰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지 확대
흑인 인권운동가 마틴 루서 킹 목사
흑인 인권운동가 마틴 루서 킹 목사
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CNN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미국 국가기록보관소가 지난 3일 추가로 공개한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암살 관련 기밀문서 676건 중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문서가 포함됐다. FBI가 작성한 이 문서의 상당 부분이 킹 목사의 공산주의 연계 혐의나 부적절한 성생활 등 킹 목사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내용으로 채워졌다.

FBI는 킹 목사가 설립한 인권 단체인 남부기독교리더십콘퍼런스 탈세 혐의를 제기하는가 하면, 킹 목사의 동료 중 상당수가 공산주의와 연계돼 있다고 주장했다. 킹 목사의 혼외정사 등 사생활과 관련해 확인되지 않은 주장도 담겨 있다. 이 문서는 존 에드거 후버 FBI 초대 국장 재임 시절 작성됐다. 클레이번 카슨 스탠퍼드대 역사학 교수는 “이 문서를 자세히 보면, 킹 목사의 명예를 훼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사람(후버 국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이번 공개된 문서 중에는 케네디 전 대통령의 암살범인 리 하비 오스왈드와 미 중앙정보국(CIA)의 연계설에 대해 “전혀 사실무근”이라는 내용의 메모도 포함됐다. 1975년 작성된 이 메모에는 오스왈드가 CIA의 사주를 받았는지 혹은 CIA와 관련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10년 동안 ‘모든 수단을 동원해’ 철저하게 조사했지만, ‘CIA와 오스왈드의 연계점을 아무것도 찾아내지 못했다’고 쓰여 있다. 또 CIA뿐만 아니라 미국의 다른 기관들도 오스왈드를 정보원이나 직원으로 채용했다는 증거는 없었다고 밝혔다.

또 사건 발생 두 달 전인 1963년 9월 멕시코의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오스왈드를 실제로 만났던 파벨 야츠코프 주멕시코 구소련 영사가 “오스왈드는 불안해했고 손은 떨렸었다”면서 “그렇게 불안정한 사람이 (케네디 전 대통령을 향해) 정확히 소총을 쏘았는지 믿을 수 없다”고 한 발언을 담은 문건도 공개됐다.

한편 이번 공개는 지난달 26일 2891건에 이은 후속 공개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달 국가 안보 우려 등을 이유로 CIA나 FBI가 만류한 기밀문서에 대해선 공개를 보류했다. 그러나 JFK 암살 음모론이 가라앉지 않자, 생존 인물의 이름이나 주소를 빼고 모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문서는 모두 CIA가 작성한 것으로 그동안 어떤 형태로든 외부에 알려진 적이 없는 문서라고 NYT가 전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11-0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