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핵탄두·주요시설 은폐 추구하고 있다”

“北핵탄두·주요시설 은폐 추구하고 있다”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8-07-01 23:04
수정 2018-07-02 02: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DIA “훨씬 적은 수 보유 주장”

백악관은 내용 확인 답변 거부

미국 국방정보국(DIA)은 북한이 6·12 북·미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에 합의했지만 실제로는 여전히 핵탄두와 주요 핵시설을 은폐하려 한다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포스트(WP)는 30일(현지시간) 복수의 정보당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미 국방부 산하 DIA가 북·미 정상회담 후 새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 대신 핵탄두 및 관련 장비·시설 은폐를 추구하고 있다’는 요지의 보고서를 최근 펴냈다고 전했다. DIA는 북한이 미국을 기만하고 실제 보유한 핵탄두와 미사일, 핵 개발 관련 시설의 개수를 줄이려는 방법을 찾고 있다는 분석도 내놓았다.

미 정보당국은 북한이 약 65개의 핵탄두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하지만, 북한은 이보다 훨씬 적은 수의 핵탄두를 가진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은 지금까지 영변 한 곳으로 알려졌지만 2010년부터 강선(Kangson)에서도 비밀 우라늄 농축시설이 운영됐고 이곳의 농축 규모는 영변의 2배나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WP는 전했다.

NBC 방송도 지난달 29일 미 정보기관 관리의 말을 인용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협상에서 더 많은 양보를 이끌어내기 위해 최근 수개월간 여러 곳의 비밀 장소에서 핵무기의 원료인 농축우라늄 생산을 늘리고 있다고 전했다. 북·미 양측이 비핵화 외교전을 벌이고 있는 최근 몇 달 동안에도 북한의 농축우라늄 생산이 증가했다는 정황이다. 백악관은 관련 내용 확인에 대한 답변을 거부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비핵화 협상이 본궤도에 진입해도 검증을 둘러싼 북한과 국제사회의 신경전이 팽팽하게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비핀 나랑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WP 기고를 통해 “비핵화에 대한 검증을 확실하게 하지 않으면 협상은 아마 불완전하게 될 것”이라면서도 “북한 입장에서 너무 많은 검증은 (정권을 위험하게 하는 일이라)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며 비핵화 검증의 딜레마를 지적하기도 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8-07-0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