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 위안부 기림비 1주년…내일 피해자 위한 9㎞ 도심 행진

샌프란시스코 위안부 기림비 1주년…내일 피해자 위한 9㎞ 도심 행진

최훈진 기자
입력 2018-09-20 22:34
수정 2018-09-21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도심에 위안부 기림비가 설립된 지 1주년을 맞는 22일(현지시간) 이를 기념하는 행진이 펼쳐진다.

‘범아시아계 위안부정의연대’(CWJC)는 이날 기림비가 세워져 있는 차이나타운 세인트메리광장을 출발해 ‘샌프란시스코시티칼리지’까지 약 9㎞를 걸을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CWJC는 한인과 중국·필리핀·일본계 인사들이 함께 결성한 단체로, 미 대도시 최초로 샌프란시스코에 위안부 기림비 설립을 추진했다.

2015년 9월 시의회에서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됐으며, 2년여간 모금 운동, 디자인 공모, 작품 제작 등을 거쳐 지난해 유명 조각가 스티븐 와이트가 ‘여성 강인함의 기둥’이라는 제목으로 제작한 위안부 기림비가 세인트메리광장에 들어섰다.

기림비 설립 1주년을 맞아 캘리포니아 내 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제공된 위안부 문제 사회교과 커리큘럼을 주제로 한 토론도 열린다. 샌프란시스코 교육청(SFUSD)은 2016년 위안부 관련 내용을 포함시키기 위해 중·고교 교과 과정을 개편했다. 중국 위안부 피해자의 역사를 기록한 교사 브라이언 퐁, 위안부 문제를 그린 영화 ‘다이한’을 제작한 중국 감독 샹위핑, 일본 내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 온 모임인 ‘간사이 네트워크’ 등이 참여한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김형재 서울시의원 “강남역 지하상가 시민쉼터 조성 환영”

서울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 강남2선거구)은 최근 강남역 지하상가 12번 출구 역삼동 방향 초입에 시민쉼터가 새롭게 조성돼 운영을 시작한 데 대해 “지난 6월 개통된 강남역 12번 출구 에스컬레이터와 함께 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획기적으로 증진시키는 의미 있는 성과”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강남역 지하상가는 약 250여개 점포가 길게 늘어선 국내 최대 규모의 지하상가임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시민들이 잠시 머물며 쉴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지하상가 내 쉽터의 부재는 특히 교통약자, 어르신, 산모, 장애인 등 다양한 이용객들에게 큰 불편 요인으로 꼽혀 왔다. 이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김 의원은 지난해 6월 12일 서울시의회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한국영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을 상대로 “강남역 지하상가에는 시민들을 위한 휴식공간이 전혀 없다”라며 “임대기간이 끝난 점포 등을 활용해 시민쉼터와 벤치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문한 바 있다. 이후에도 김 의원은 서울시설공단 관계자들과 시민쉼터 조성 필요성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를 이어갔고 드디어 이번 달에 시민쉼터 조성이 성사됐다. 이번에 조성된 쉼터는 전용면적 18.73㎡ 규모이며, 지
thumbnail - 김형재 서울시의원 “강남역 지하상가 시민쉼터 조성 환영”

2018-09-2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