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한인 이민자들의 恨 기리며…유카탄주, 5월 4일 ‘한국의 날’ 제정

멕시코 한인 이민자들의 恨 기리며…유카탄주, 5월 4일 ‘한국의 날’ 제정

최훈진 기자
입력 2019-07-17 17:48
수정 2019-07-18 00: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멕시코 유카탄주가 1905년 1033명의 한인이 노동이민으로 유카탄반도에 정착한 날인 5월 4일을 ‘한국의 날’로 제정했다.

16일(현지시간) 주멕시코 한국 대사관에 따르면 유카탄주는 전날 개최된 주의회 본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안건을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파울리나 아우로라 비아나 주의원은 대표연설에서 멕시코 한인 이민자들이 유카탄에 도착한 후 어려운 생활환경에도 근면 성실하고 모범적인 공동체 활동을 통해 유카탄 사회 발전과 문화 다양성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대사관은 전했다. 아우로라 의원은 해마다 5월 4일에 주 정부 차원의 기념행사를 개최할 방침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유카탄주에는 현재 3000여가구의 한인 후손이 거주하고 있다. 대한제국 시절 노동이민을 간 한인들이 을사늑약 체결로 고국이 일본에 병합되면서 귀향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유카탄 한인후손회 율리세스 박 회장은 “주 차원의 한국의 날 제정은 모든 한인 후손들에게 상당히 의미 있는 일”이라며 “돌아가고 싶어도 돌아갈 수 없었던 선조들의 한을 일부 풀어 주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앞서 유카탄주 메리다시와 캄페체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조례로 5월 4일을 한국의 날로 제정했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홍제3구역주택재건축정비사업, 조합원도 천주교 신자고 천주교 신자도 조합원임을 알아야”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홍제3구역주택재건축정비사업 조합과 천주교서울대교구유지재단과의 무악재성당 관련 협의가 불발된 데 이어, 순조롭게 이행되지 않으면 결국 불필요한 집행이 이뤄질 수밖에 없음에 안타까움을 전하며, 이러한 불발이 지속될수록 결국 피해받는 대상은 조합원이며, 이 조합원 역시 천주교 신자가 있을 수 있고, 천주교 신자 중 조합원이 분명하게 있음을 상기해 천주교재단에 깊은 아량과 이해를 당부했다. 문 의원은 “홍제2동의 숙원이자 기나긴 세월 간 지연되어 온 홍제3구역주택재건축정비사업이 이제 막 삽을 뜨려던 찰나, 천주교서울대교구유지재단과의 무악재성당 관련 협의가 불발되면서 법적 분쟁까지 이어져 또다시 지연됨에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라며 발언을 시작했다. 이어 문 의원은 “아쉬운 점은, 진작에 조합측의 사업시행계획 수립, 관리처분계획 수립 시기에 무악재성당 및 천주교서울대교구유지재단에서의 면담 및 협상을 거부하여 10년 만에 가까스로 이뤄졌음에도 무악재성당 관련 보상 및 내용에 대해 무리한 조건을 제시, 이에 대해 대응이 이루어짐은 물론 일방적인 법적 분쟁 소송으로 불협화음이 발생했다는 점이다”라며 이어갔다. 또한 문 의원은 “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홍제3구역주택재건축정비사업, 조합원도 천주교 신자고 천주교 신자도 조합원임을 알아야”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9-07-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