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년 전 스페인 정복자 코르테스가 파부침주시킨 배의 닻 또 발견

500년 전 스페인 정복자 코르테스가 파부침주시킨 배의 닻 또 발견

임병선 기자
입력 2019-12-19 16:51
수정 2019-12-19 17: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해양생물학자들이 멕시코 베라크루즈 항구 앞바다 해저에서 500년 전 에르난 코르테스가 침몰시킨 것으로 추정되는 배의 닻 크기를 측정하고 있다. 베라크루스 로이터
해양생물학자들이 멕시코 베라크루즈 항구 앞바다 해저에서 500년 전 에르난 코르테스가 침몰시킨 것으로 추정되는 배의 닻 크기를 측정하고 있다.
베라크루스 로이터
정확히 500년 전 스페인의 정복자 에르난 코르테스(1485~1547년)가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상륙한 뒤 파부침주(破釜沈舟)시킨 것으로 추정되는 배의 철제 닻이 둘이나 걸프만 해저에서 발견됐다.

길이가 4m에 이르는 이 닻은 지난해 세 개의 닻이 발견된 항구도시 베라크루즈 북쪽 해변에서 그리 멀지 않은 바닷속 10~15m 지점에서 해양 고고학자들의 눈에 띄었다. 원래 이곳은 1519년 코르테스가 이끈 함대가 상륙했던 벨라 리카란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코르테스는 배를 가라앉힌 지 2년 만에 아즈텍 제국을 무너뜨렸다.

고고학자들은 최근의 잇단 발견이 스페인의 멕시코 정복 역사를 상세히 설명할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도 닻이 15개는 더 발견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해양 고고학자 프레드릭 한셀만은 “멕시코 정복은 인류사의 한 획을 긋는 사건이었다”며 “난파의 흔적은 지금의 서구를 만든 문화적 융합의 한 상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병사 508명과 말 16필을 11척의 배에 나눠 싣고 유카탄 반도에 상륙한 코르테스는 부하들이 곧바로 돌아가자고 할까봐 배들에 불을 지르거나 의도적으로 가라앉히거나 좌초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1521년 아즈텍으로부터 항복을 받아내는 과정에 파부침주가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포장됐는데 얼마 전 한국을 다시 찾은 재레드 다이아몬드(82)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교수는 유럽인들이 상대적으로 면역 체계가 약한 원주민들에게 페스트 등 전염병 균을 옮긴 것이 훨씬 주효했다고 주장한다.

연초에 안드레스 마뉴얼 로페스 오브라도 멕시코 대통령은 멕시코 토종 원주민들을 유린한 데 대해 펠리페 4세 스페인 국왕과 프란시스코 교황 등이 머리 숙여 사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와 관련 멕시코 정복을 다룬 두 가지 새로운 TV 미니시리즈가 선보여 관심을 끌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하나는 지난달 TV 아즈테카를 통해 방영된 ‘에르난’이고, 다른 하나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촬영한 ‘코르테스’인데 오스카를 수상한 하비에르 바르뎀 주연이다.

해양학 및 역사에 관한 국립연구소(INAH)는 일단 뭍으로 가지고 나와 촬영해 기록으로 남긴 다음 다시 바닷속 있던 곳으로 돌려보내 보존하게 된다고 밝혔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