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들 성희롱 논란… 경영 위기
미국의 대표적 란제리 브랜드인 ‘빅토리아 시크릿’ 고위층에 여성 혐오와 괴롭힘, 희롱의 문화가 만연해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섹시 속옷의 대명사’로 한때 최고의 인기를 구가했던 빅토리아 시크릿은 시대 변화와 임원들의 스캔들로 구설에 오르며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NYT에 따르면 빅토리아 시크릿의 모회사 ‘L 브랜드’의 최고마케팅책임자(CMO)인 에드 라젝(71)의 부적절한 행동으로 불만이 여러 차례 신고됐다. 그는 패션쇼에 서는 모델에게 강제로 키스를 시도하거나 자신의 무릎에 앉히는 등 불필요한 신체 접촉을 일삼았다. L 브랜드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레슬리 웩스너(82)는 라젝의 망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고를 받았으나 오히려 불만을 제기한 모델을 패션쇼에서 해고하는 등 한술 더 떴다. 웨스너는 지난해 성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과의 관계가 드러나면서 논란의 인물로 떠오르기도 했다.
케이시 크로 테일러 전 빅토리아 시크릿의 홍보 직원은 NYT에 “내가 가장 놀랐던 것은 항상 여성 독립을 주장하던 사람이 이런 행동에 얼마나 뿌리 깊게 절어 있는가였다”고 털어놓았다. 모델들은 종종 급료도 받지 못한 채 누드 촬영 등 과도한 요구를 받아야 했으며, 회사의 ‘포르노풍’ 이미지를 벗고자 했던 전·현직 임원 6명 중 3명은 회사에서 쫓겨났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8월 회사를 떠난 라젝은 “이런 비난은 절대 사실이 아니다”라며 “나는 세계 수준의 모델들과 재능 있는 프로들과 일했던 것을 행운으로 생각하고 우리가 지닌 상호 존중에 대한 자긍심이 크다”고 반박했다.
L 브랜드는 갈림길에 섰다. 빅토리아 시크릿은 웩스너가 1982년 100만 달러에 매입, 란제리계의 강자로 키웠으나 최근 비틀거리고 있다. 여성성에 대한 시대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섹시함에만 매달린 빅토리아 시크릿은 시장에서 점점 밀려났다. 연례 패션쇼는 20년 만에 처음으로 TV 중계가 취소됐고, 웩스너도 은퇴하고자 회사를 매각하려 하고 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2020-02-0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