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 65세·하원 59세… 기득권 놓지 않는 ‘늙은 美의회’

상원 65세·하원 59세… 기득권 놓지 않는 ‘늙은 美의회’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1-02-16 20:06
수정 2021-02-17 0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CNN “20년간 가장 높은 중위 연령”
40세 이하 밀레니얼세대 의원 6%뿐
베이비부머 과반… “청년 정책 미흡”

최고령 대통령인 조 바이든(79), 최고령 하원의장인 낸시 펠로시(81) 등 7080 정치인이 맹활약하는 미국에서 현재 117대 의회 역시 최근 20년간 가장 나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구조의 변화와 달리 여전히 베이비붐세대(57~75세) 의원이 의회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면서, 소위 세대교체론도 나온다.

16일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현재 117대 상원의원의 중위연령은 64.8세로 2년 전 116대(63.6세)보다 1.2년 늘었다. 하원의원의 중위연령도 58.9세로 116대(58세)보다 증가했다. CNN은 “상·하원 모두 최근 20년간 가장 높은 중위연령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또 인구 중 비율이 23.5%인 베이비부머는 상·하원 의원 532명 중에 절반이 넘는 56%(298명)를 차지했다. 해당 세대가 과잉대표 되는 경향을 보일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반면 인구 중 가장 높은 비율(24.3%)을 차지하는 밀레니얼세대(25~40세) 의원 비율은 고작 6%(32명)였다. X세대(41~56세)의 의원 비율은 30.8%(164명)로, 인구 비율(22%)보다 다소 높았다.

아직은 여성 인구 비율에 미치지 못하지만 10년 전 96명에서 이번 의회에 144명으로 50% 증가한 여성 의원 수와 비교하면, 의회 내 세대교체는 상대적으로 매우 더딘 상황이다.

미국 내 세대 간 갈등은 베이비부머들이 미국의 가장 부유했던 시절을 보내면서 자산을 축적할 기회를 누렸다는 데서 시작된다. 글로벌 금융위기부터 10년간 밀레니얼세대는 총임금의 13%를 손해 본 것으로 추산되며, 이는 베이비부머의 7%보다 월등히 많다. 재산 형성의 기회를 박탈당한 청년들은 누구보다 정책 변화를 염원한다.

패스트푸드 등에 종사하는 청년들은 연방 최저임금을 7.25달러(약 8000원)에서 15달러(약 1만 6500원)로 인상하는 법안 통과를 주장하고 있지만, 의회 문턱에서 나아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12년간 연방 최저임금은 오른 적이 없다.

그나마 밀레니얼 의원 수는 지난 116대 의회보다 5명이 늘었다. 25세인 매디슨 커손은 지난해 11월 총선에서 역대 최연소 당선 기록을 깼다. 2015년 30세로 하원에 입성해 ‘진보 정치의 상징’이 된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 코르테스도 있다. 하지만 아직은 개혁을 주도할 실질적 영향력보다는 화제성으로 이목을 끌고 있다는 지적이다.

다만 버니 샌더스(80) 상원의원과 같이 평생 청년층의 지지를 받으며 기득권을 무너뜨리는 데 일조한 정치인도 있다는 점에서 나이로만 정책 성향을 판단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김춘곤 서울시의원, 울란바토르시의회 명예훈장 받아

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인 김춘곤 의원(국민의힘, 강서4)은 지난 13일 몽골 울란바토르시의회로부터 명예훈장을 수여받았다. 이번 명예훈장은 김 의원이 지난 10여 년간 한국과 몽골 간의 문화예술 교류 및 교육발전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여된 것으로, 서울시의원으로서의 공식 활동을 넘어 양국 간 민간 외교의 가교 역할을 성실히 수행해온 점이 높이 평가됐다. 특히 김 의원은 2년 연속 집행위원장과 조직위원장을 맡아 청년 음악인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해왔으며, 2025년 대상 수상팀과 함께 몽골 울란바토르 공연을 추진하며 실질적인 국제 교류의 장을 마련했다. 울란바토르 공연은 서울시가 추진한 ‘한강대학가요제’의 해외 진출 프로그램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김 의원은 문화·예술을 통한 청년 교류와 도시 간 협력 기반 확대를 적극 이끌었다. 김 의원은 몽골 청년들과의 문화교류가 단순한 일회성 행사를 넘어, 서울과 울란바토르 양 도시 간 청년문화 협력과 공동성장의 발판이 되도록 다양한 정책적·현장적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몽골 울란바토르시의회는 이 같은 민간교류 성과와 지방 거버넌스 강화, 국제협력 확대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하며, 김 의
thumbnail - 김춘곤 서울시의원, 울란바토르시의회 명예훈장 받아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2021-02-1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