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내년 기준금리 4% 이상 유지”… 3분기 성장률 0%대까지 추락

“美 내년 기준금리 4% 이상 유지”… 3분기 성장률 0%대까지 추락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22-09-19 20:28
수정 2022-09-20 02: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제학자 66% ‘긴축 기조’ 예측
“인하 시기 빨라도 2024년 될 것”
3분기 성장률 0.5%로 하향 전망
10명 중 7명, 내년 경기침체 경고

이미지 확대
미국 경제학자 10명 중 6명 이상이 미국의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연내 4% 이상으로 올리고 내년에도 이 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내년 중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기대했던 투자자들의 예상과는 달리 미국의 통화긴축 기조가 더 강하고,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란 의미로 경기침체 우려도 커지고 있다.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과 지난 13~15일 경제학자 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응답자 중 66%는 연준의 통화긴축을 통해 금리 인상이 최종적으로 연내 연 4~5% 선에서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했다. 18%는 연 5~6%로, 2%는 연 6~7%까지 오를 것으로 봤다. 3~4% 선에서 멈출 것이라는 응답률은 14%에 그쳤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연 2.25~ 2.5%다. 20~21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자이언트스텝(한번에 기준금리 0.75% 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인데 이 경우 기준금리는 연 3.0~3.25%로 오른다. 오는 11월과 12월에도 FOMC 회의가 열리며 추가 인상이 이뤄진다.

대다수 경제학자는 연준이 긴축 기조를 내년에도 이어 갈 것으로 전망했다. 응답자 68%는 금리 인하 시기가 빨라도 2024년일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25%는 2024년 하반기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봤다. 8월 미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에너지 가격 하락에도 시장 예상을 웃돌며 8.3% 오르는 등 물가 압력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기 둔화 경고음은 더 커졌다. 미국 경제의 침체 여부를 공식 판단하는 전미경제연구소(NBER)가 내년에 경기 침체를 선언할 것으로 예상한 비율은 설문 응답자의 70%에 육박했다.

특히 3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전망치도 가파르게 추락하며 0%대까지 하락한 상태다. 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 예측 모델인 GDP 나우가 15일 현재 기준으로 측정한 미국 3분기 GDP 성장률은 0.5%로 집계됐다. 일주일 전(9일) 1.3%에서 0.8% 포인트 급락한 수치다.



영국 경제전망기관인 옥스퍼드이코노믹스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더 공격적인 연준의 긴축 기조, 세계경제 환경 악화로 인한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결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2022-09-2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