킴벌, 형 이어 트럼프 정책 지적
켄·스탠리 등 월가 인사들도 비판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의 동생 킴벌 머스크. 페이스북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동생이자 테슬라 이사회 멤버인 킴벌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을 직설적으로 비판했다. 머스크가 최근 상호관세 정책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데 이어 동생까지 쓴소리를 내놓은 것이다.
킴벌은 7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에 “관세는 미국 소비자를 겨냥한 구조적이고 영구적인 세금”이라고 작심 비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보편관세가 결국 물건값을 밀어 올려 미국 소비자들이 피해를 본다는 주장이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은 수십년 만에 가장 높은 세금을 부과하는 미국 대통령처럼 보인다”고 비꼬기도 했다.
킴벌은 “관세로 일자리를 국내(미국)로 되돌리는 데 성공하더라도 가격은 여전히 높게 유지될 것”이라며 “소비에 대한 세금은 결국 ‘더 높은 가격’이라는 형태로 남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물건을 만드는 데 그렇게 능숙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앞서 일론 머스크도 지난 5일 이탈리아 극우 정당 ‘라 리가’ 행사에서 “미국과 유럽이 이상적으로는 무관세 체제로 나아가야 한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을 에둘러 비판한 바 있다.
친공화당 성향의 월가 억만장자들도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 홈디포의 공동 창립자로 공화당을 오랜 기간 지지해 온 켄 랭곤은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에 “트럼프 대통령이 참모들에게 제대로 조언받지 못했다”며 “빌어먹을 관세 산정 공식을 이해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의 멘토이자 억만장자 투자자인 스탠리 드러켄밀러도 X에 “10%를 초과하는 관세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한 억만장자 투자자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 캐피털 회장은 관세 90일 유예를 촉구하면서 “(트럼프 대통령) 스스로 초래한 경제 핵겨울”이라고 비난했다.
2025-04-0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