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퇘지 유두도 나왔다…中대학생들이 받은 도시락

암퇘지 유두도 나왔다…中대학생들이 받은 도시락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2-04-28 18:16
수정 2022-04-28 18: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달 넘게 봉쇄 중인 상하이 퉁지대
‘충격의 학식’ 사진 웨이보 도배

상하이 퉁지대 학생들이 올린 도시락 속 돼지고기의 상태. 제대로 익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살코기가 실종된 비곗덩어리에는 굵은 털이 수북했다. 중국 웨이보 캡처
상하이 퉁지대 학생들이 올린 도시락 속 돼지고기의 상태. 제대로 익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살코기가 실종된 비곗덩어리에는 굵은 털이 수북했다. 중국 웨이보 캡처
학교 측 배급 도시락에 ‘불만’
“돼지 사시미를 먹으라는 거냐”
격리 중인 상하이 퉁지대학교 학생들이 학교 측 배급 도시락의 경악할 만한 위생 상태를 폭로했다.

28일 중국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는 ‘상하이 퉁지대학 돼지 사시미’란 해시태그와 함께 보기만 해도 메스꺼운 사진들이 올라왔다.

계속된 항의를 학교 측이 묵살하자, 참다 못한 학생들은 소셜네트워크시비스(SNS)를 통해 열악한 격리 상황을 외부에 알린 것이다.

여론이 들끓자 관련 당국이 문제의 납품업체 처분에 나섰지만, 상황을 수습하기엔 역부족이었다.

더욱이 퉁지대는 전국적으로 맛있는 학식(학교식당)으로 명성이 자자했기에 학생들의 실망과 분노는 더 컸다.

학생들이 공개한 사진 속 도시락의 상태는 충격적이었다. 돼지고기는 제대로 익지 않았으며 비곗덩어리에는 굵은 털이 수북했다. 또 식용으로 잘 쓰지 않는 암퇘지의 유두 부위가 나오기도 했으며 기생충의 흔적도 남아있었다.
상하이 퉁지대 학생들이 올린 도시락 속 돼지고기 사진. 식용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 암퇘지의 유두 부위. 중국 웨이보 캡처
상하이 퉁지대 학생들이 올린 도시락 속 돼지고기 사진. 식용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 암퇘지의 유두 부위. 중국 웨이보 캡처
육류뿐만 아니라 배급받은 밥과 빵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곤충이 들어있었으며 야채 볶음에서는 손톱만 한 벌레나 달팽이가 나오기도 했다.

이에 학생들은 사진과 함께 “며칠째 돼지 유두와 비곗덩어리를 먹는 것까진 참았지만, 이젠 기생충투성이인 돼지 사시미를 먹으라는 거냐”며 분노했다.

또 다른 학생은 “위생 상태가 심각해 보인다”면서 “도시락이 학생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 달 전 상하이 봉쇄령이 내려지며 학교 숙소에 꼼짝없이 갇힌 퉁지대 학생들이 당일 점심 때 배급 받은 도시락의 형편없는 위생 상태를 단체로 폭로한 것이다.
상하이 퉁지대 학생들이 배급 받은 빵 속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곤충이 ‘박제’돼 있었고, 야채 볶음에서는 손톱만한 벌레나 달팽이가 나온 경우도 있었다. 중국 웨이보 캡처
상하이 퉁지대 학생들이 배급 받은 빵 속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곤충이 ‘박제’돼 있었고, 야채 볶음에서는 손톱만한 벌레나 달팽이가 나온 경우도 있었다. 중국 웨이보 캡처
퉁지대는 3월 9일부터 학교를 봉쇄했고, 4월 초부터는 기숙사 건물과 숙소 전체에 봉쇄령을 내렸다.

초반에는 코로나 확진자가 교내에서 몇몇 발견됐지만, 강력한 폐쇄 정책 때문에 한동안은 잠잠했다.

하지만 며칠 전 방역 규칙을 성실히 지켜온 학생 기숙사동에서 확진자가 또 발생했다.

여론이 들끓자 관련 당국이 해명하고 조치에 나섰지만, 진화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상하이 소재 대학들의 물류 공급을 전담하는 ‘상하이 대학 물자 조달 출고 관리 센터’가 지난 26일 퉁지대 돼지고기 파동에 대한 공고를 내놨다.

문제의 돼지고기 공급업체와 도시락 제조업체의 이름이 공개됐다.

센터 측은 이들과 공급 계약을 중지하고 관리 당국의 조사 결과에 따라 처분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성난 여론은 쉬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