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미스트들은 부자들의 갑작스러운 소비 하락이 경제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성장을 더욱 지체할 수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맨해튼과 같은 고가 부동산 시장이 6분기 연속 판매 감소를 기록하는 등 금융위기 이후 최악이다. 부동산중개업체 레드핀에 따르면 지난 2분기에 미국에서 150만 달러(약 18억원) 이상의 주택 매매가 5% 감소했다. 팔리지 않은 맨션과 펜트하우스 매물이 콜로라도주 아스펜이나 뉴욕주 햄프턴스 같은 부유한 리조트 타운에서 쌓이고 있다.
상위 1%를 위한 소매는 특히 최악이다. 명품 백화점인 바니스가 파산보호를 신청하고, 노드스트롬이 3분기 연속 매출 감소를 기록했다. 반면에 매일 소비자들이 방문하는 월마트와 타겟은 시장 예상보다 강한 매출을 달성한 것과는 대비된다.
차량 가격 기록 갱신으로 유명한 페블비치 자동차 경매에서 이달 고가 차량들은 경매 파행을 거듭했다. 경매에 붙여진 100만 달러 이상의 차량은 절반 넘게 팔리지 않았다. 그러나 7만 5000달러 이하의 차량들은 신속하게 팔려나갔다. 올 상반기 예술품 경매는 수년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소더비는 매출 10%가 하락했고, 크리스티 경매는 1년 전보다 22%가 떨어졌다.
소비 감소 이유는 세율 변화와 같은 몇가지 이유들이 있지만 스위스 시계와 패션 등 고급품 판매 감소는 부유층이 지갑을 닫고 있기 때문이다. 부유층의 소비가 더 떨어지면 경제에 고통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디스 애널리틱스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크 잔디에 따르면 수입 상위 10%는 전체 소비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잔디는 “고소득 소비자가 지출을 줄이면 경제 성장에 심대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유층의 저축은 과거 2년 동안 두배 이상을 늘어났다.
부유층의 소비 감소는 2가지 이유로, 변동성이 큰 주식 시장과 세계적 성장 둔화에 있다. 상위 10%가 미 주식의 8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주식과 채권 시장에서 최근의 변화에 훨씬 더 민감하다. 이들은 또한 해외 사업이나 외환에 노출된 기업을 소유하고 있기에 전세계에 형성되고 있는 경제적 폭풍에 대한 조기 경보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부유층은 자신감과 확실성으로 소비하지만 이들이 글로벌 주식시장과 무역전쟁에서 어떤 것도 찾지 못하고 있다고 CNBC가 진단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