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틀랜드 독립 최종 여론조사 초반 개표 반대 58% “독립 무산?”

스코틀랜드 독립 최종 여론조사 초반 개표 반대 58% “독립 무산?”

입력 2014-09-19 00:00
수정 2017-07-10 17: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코틀랜드 독립 최종 여론조사 초반 개표 반대 58% “독립 무산?”

18일(현지시간) 실시된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주민투표의 초반 개표결과 ‘독립 반대’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BBC방송 등 영국 언론들은 32개 개표소 가운데 가장 먼저 개표가 완료된 클라크매넌셔의 개표 결과, ‘반대’가 54%로 ‘찬성’(46%)을 8%p 차로 앞섰다고 보도했다.

이는 온라인여론조사기관 유고브가 투표 당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의 찬반 비율과 동일하다.

클라크매넌셔는 지역 의회에서 독립에 찬성하는 의원과 반대하는 의원의 수가 동일해 최종 결과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돼 왔다.

뒤이어 발표된 오크니와 셰틀랜드의 개표 결과는 ‘반대’가 각각 67%와 64%로 찬성을 압도했고, 웨스턴 아일스도 ‘반대’가 53%를 차지했다. 네 곳을 합한 찬반 비율은 42.2% 대 57.8%로 반대표가 크게 앞선다.

초반 개표가 ‘반대’로 기울자 유로화에 대한 영국 파운드화 가치는 2년여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이날 도쿄 외환시장에서 파운드화는 유로 당 0.78 파운드에 거래되며 2012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 네 지역의 유권자 수는 전체의 2.3%에 불과해 전체 판세로 연결짓기에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최종 개표 결과는 한국시간 19일 오후 2시쯤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투표에는 16세 이상 스코틀랜드 주민 441만명의 97%인 428만여명이 유권자 등록을 한 가운데 지역별로 75%에서 90%의 투표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글래스고에서는 다른 사람으로 가장하고 두 차례 투표를 한 것으로 의심되는 사례가 10건 적발됐다. 영국에서는 투표 전에 신분증을 제시할 필요가 없다.

네티즌들은 “스코틀랜드 최종 여론조사, 결국 독립 못하는 건가”, “스코틀랜드 최종 여론조사, 최종 결과가 나와봐야 알지”, “스코틀랜드 최종 여론조사, 반대가 많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황철규 서울시의원 “가해에 관대·피해에 가혹한 학폭 조치 기준, 이제 바꿔야”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황철규 의원(국민의힘, 성동4)은 지난 13일 제333회 정례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가해학생에게는 관대하고 피해학생에게는 가혹한 학교폭력 조치 기준은 이제 바꿔야 한다”며 조치 기준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황 의원은 최근 심의 사례를 언급하며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히고도 사회봉사에 그치는 약한 처분이 반복되고 있다”며 “피해학생이 다음 날 가해학생과 같은 학교에 등교해야 하는 현실은 잘못된 기준이 만든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현행 교육부의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별 적용 세부기준 고시’는 2016년에 제정된 이후 개정 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황 의원은 “현재 조치 기준상 피해의 심각성이 크더라도 ‘일회성’으로 판단되면 강한 처분이 내려지기 어려운 구조”라며, 학교폭력 조치 기준이 10년 가까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또 가해학생의 반성문·화해 노력 등이 조치 점수에서 과도하게 반영되는 점도 지적했다. 황 의원은 “반성문 몇 장만 제출해도 점수가 낮아져 중한 처분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구조”라며 “현재 조치 점수 체계는 가해학생 중심적이며, 피해학생 보호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thumbnail - 황철규 서울시의원 “가해에 관대·피해에 가혹한 학폭 조치 기준, 이제 바꿔야”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