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루파키스, 재협상 위해 英 등 방문 “이달까지 구체적 개혁안 내놓을 것”
“그리스 시리자를 둘러싼 논쟁엔 복잡한 용어가 가득 차 있으나 본질은 전적으로 정치적인 것이다. 이 게임의 승패는 그리스가 과거의 실패한 연고주의 국가에서 대담한 반긴축국가로 거듭날 수 있느냐는 지점에서 갈릴 것이다.”부채 재협상을 위해 프랑스, 영국 등 주요 유럽 국가들을 방문하고 있는 야니스 바루파키스 그리스 재무장관의 행보에 대해 파이낸셜타임스(FT)가 2일(현지시간) 내린 평가다. 반긴축을 내건 급진좌파정당답게 시리자는 집권과 함께 ‘채권단 트로이카’라 불리는 유럽연합(EU), 유럽중앙은행(ECB), 국제통화기금(IMF)을 맹비난하면서 양쪽이 충돌했다. 그러나 양측 모두 태도가 조금씩 변하고 있다. 이유는 역시 파국의 위험이다. 그리스는 구제금융이 끊기면 2~3달 안에 파산할 수밖에 없다. EU의 정치적 부담도 크다.
FT는 “유럽 각국들이 부채 탕감은 안 된다는 점엔 동의하고 있으나 시리자 열풍이 스페인 포데모스 등 다른 나라로 번지는 건 막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생각하고 있다”며 “바루파키스 장관이 찾은 나라들이 놀라울 정도로 그리스의 호소에 귀 기울이고 공감하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전했다.
바루파키스 장관은 새로운 제안도 내놨다. FT와의 인터뷰에서 일단 3150억 유로(약 391조 8000억원) 규모의 부채 탕감은 더 이상 요구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이자를 낼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재정 흑자를 낸다는 약속도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대신 ‘채무 스와프’ 카드를 꺼내 들었다. 명목경제성장률 연동 채권을 만들어 구제금융과 교환하고, 무기한 채권을 발행해 ECB 보유 채권과 맞바꾸는 것이다. 돈은 다 갚되 긴축재정으로 쥐어짜내듯 갚는 게 아니라 살림살이에 여유가 생겼을 때 차근차근 갚도록 해 달라는 것이다.
이 역시 쉬운 제안은 아니다. 바루파키스 장관은 “유럽 다른 나라들이 급진좌파라는 표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든 우리 또한 그리스 내부 개혁에 관심이 많다”며 “이달 말까지 구체적 개혁안을 내놓을 테니 꼭 지켜봐 달라”고 덧붙였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5-02-0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