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질환 막는 획기적 시술” vs “금기선 넘었다”
영국 의회가 세계 최초로 모계 유전 질환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3부모 체외수정’ 허용 법안을 통과시켜 ‘맞춤형 아이’(designer baby) 양산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관련 시술의 합법화를 요구해온 유전질환 환자 가족과 과학자들은 영국 의회의 표결 결과를 환영했지만 종교계와 생명윤리운동 단체들은 태아 유전체 조작의 길이 열려 맞춤형 아이’가 쏟아지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법안 통과로 내년 중 세계 최초의 3부모 체외수정아 탄생이 예고된 가운데 영국 보건당국은 유전질환으로 고통을 받는 부모들이 연간 150쌍 정도가 이 같은 시술 혜택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의학계에서는 3부모 체외수정 시술의 합법화로 부모의 희망에 따라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질환의 대물림을 예방할 수 있게 됐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영국 의료재단 웰컴트러스트의 더그 턴벌 교수는 “3부모 체외수정 합법화로 고통을 받아온 부모와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의학윤리학자인 길리안 로크우드 박사는 “새로운 체외수정 시술법은 고장 난 생체 배터리를 제대로 작동시키려는 것이지 아이의 키나 눈 색깔, 지능 등과는 무관하다”고 지지의 뜻을 밝혔다. 그는 “제3의 여성으로부터 받는 유전자는 DNA 1%의 10분의 1에 불과하므로 3부모 시술이 아닌 2.0001 부모 시술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도 폈다.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존 거던 박사 등 노벨상 수상자 5명을 비롯한 과학계 인사 40여명은 앞서 “3부모 체외수정’ 선택권은 법이 아닌 부모에게 주어져야 한다”며 법안 통과를 촉구하기도 했다.
미토콘드리아 질환 환자 가족인 레이첼 킨은 “의회에서 법안이 통과돼 환자 가족들은 대물림되는 무서운 질병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고 반겼다.
그러나 이 같은 시술의 안전성과 합법화에 따른 파장을 우려하는 반응도 팽팽히 맞섰다.
서식스 대학의 테드 모로 박사는 “보건당국은 이번 시술이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했지만, 안전성은 여전히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생명윤리 운동단체인 인간유전학경고운동(Human Genetics Alert) 협회의 데이비드 킹 박사는 “3부모 체외수정은 생명윤리의 금기선을 넘는 일”이라며 ‘맞춤형 아이’를 탄생시키려는 시도가 봇물 터지듯 쏟아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
보수당 소속 피오나 브루스 하원의원은 “여러 세대로 이어질 이번 결정의 결과는 간단히 예측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며 다시 되돌리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가톨릭 교회와 영국 성공회도 이런 시술법은 안전하지도 윤리적이지도 않으며 배아세포를 파괴하고 변형하려는 시도가 확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잉글랜드 성공회의 리 레이필드 스윈던 주교는 “3부모 체외수정 합법화로 인류의 유전자 변형 시도가 금기선을 넘어 통제 불능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