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코스트 살아남은 세그레 이탈리아 상원의원에 살해 협박

홀로코스트 살아남은 세그레 이탈리아 상원의원에 살해 협박

임병선 기자
입력 2019-11-08 05:50
수정 2019-11-08 15: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6월 21일(현지시간) 밀라노에서의 릴리아노 세그레 이탈리아 종신 상원의원. AFP 자료사진
지난 6월 21일(현지시간) 밀라노에서의 릴리아노 세그레 이탈리아 종신 상원의원.
AFP 자료사진
나치의 홀로코스트 학살에서 살아남은 릴리아노 세그레(89) 이탈리아 종신 상원의원이 하루에만 200여통의 증오 메시지가 쏟아지는 등 살해 협박을 받아 특별 경호를 받고 있다고 영국 BBC가 7일(이하 현지시간) 전했다.

1930년 밀라노의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난 세그레 의원이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끌려간 것은 13세 때였다. 아버지와 함께 1943년 12월에 스위스로 건너가려다 체포돼 다음달 함께 아우슈비츠로 갔다. 아버지와 할아버지들은 죽음을 맞았다. 1945년 1월 폴란드의 아우슈비츠를 떠나 독일 래븐스브루크 수용소로 옮겨졌다. 일주일 만에 또다른 수용소로 이송됐으나 결국은 옛 소련 적군에 의해 자유의 몸이 됐다.

전쟁 전 이탈리아에는 약 3만명의 유대인이 있었으나 홀로코스트 기간 75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세그레는 지난해 1월 세르히오 마타렐라 대통령에 의해 종신 상원의원에 임명됐다.그녀가 최근 의회에 증오와 맞서 싸우는 위원회를 만들자고 주창하고 나섰고 이 법안이 우익 정당들의 반대에도 통과된 뒤 증오 메시지가 쏟아지고 있다. 마테오 살비니 부총리가 이끄는 민족주의 계열 리그 정당과 중도우파 포르차 이탈리아, 극우 정당 브러더스 오브 이탈리아 의원들이 모두 지난주 밀라노 표결에 불참했다.

이 위원회는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 반유대주의, 윤리나 종교적 배경에 근거한 증오와 폭력 등을 다루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녀는 가결 뒤 우파 정당 의원들이 모두 불참해 “마치 상원이 화성이 된 것처럼” 느껴졌다면서 “난 모든 이의 양심을 바랐고 증오에 맞서는 위원회가 하나의 원칙으로 모든 이에게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털어놓았다.

협박 가운데 몇몇은 정말 심각해서 밀라노 주지사 레나토 사콘이 6일 연 안전 및 공중질서 위원회와의 만남에 참석한 세그레 의원은 경찰 보호를 받는 데 동의했다고 영국 BBC가 7일 전했다. 그녀는 이제 특공대 임무를 수행하는 경찰관 둘과 늘 동행하기로 했다. 밀라노 검찰청은 세그레 의원을 겨냥한 증오 메시지에 대한 수사에 들어갔으며 테러 대처 경찰의 협조도 요청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