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입국 우크라男 주 100→1000명대 급증 우크라의 18~22세 남성 여행 제한 완화 영향 “군대 무서워 출국” “10년간 안 돌아갈 것”
이미지 확대
러시아의 공격을 받고 있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 최전선 차시우 야르 마을의 한 벙커에서 우크라이나군 제24기계화여단 소속 병사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2025.10.25 우크라이나군 제24기계화여단 제공 로이터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러시아의 공격을 받고 있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 최전선 차시우 야르 마을의 한 벙커에서 우크라이나군 제24기계화여단 소속 병사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2025.10.25 우크라이나군 제24기계화여단 제공 로이터 연합뉴스
20세 전후 우크라이나 남성들의 독일 입국이 최근 크게 늘었다고 지난 2일(현지시간) 독일 도이체벨레(DW)가 전했다.
독일 내무부에 따르면 최근 독일에 와 임시 보호를 신청하는 우크라이나 난민 남성의 수는 일주일에 100명에서 1000명 수준으로 급증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정부가 지난 8월 18~22세 사이 남성의 여행 제한을 완화한 영향이라고 DW는 분석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022년 2월 이후 지난달 초까지 129만 3672명의 우크라이나 난민이 독일에서 임시 보호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대부분은 자녀를 둔 우크라이나 여성이나 연금 수급자 등 노인이었으나, 최근 22세 이하 남성들의 유입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독일 베를린 중심부에 있는 TV타워 뒤편으로 보름달이 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2025.11.6 AF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독일 베를린 중심부에 있는 TV타워 뒤편으로 보름달이 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2025.11.6 AFP 연합뉴스
베를린에 있는 우크라이나컨설팅센터에도 지난 9월 이후 젊은 남성들의 지원 요청이 크게 늘었다. 이 센터 관계자는 “지난여름까지만 해도 젊은 남성의 상담 비율은 0.1%에 불과했지만, 9월에는 13%를 차지할 정도였다”고 전했다. 비교적 교육 수준이 높은 이들 젊은 우크라이나 남성 지원자들은 임시 보호를 받아 독일에 머무를 권리를 얻은 뒤 공부하거나 일자리를 찾길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키이우 출신 20세 막심은 베를린에 온 소감에 대해 “정말 행복하다. 이것이 내 미래로 가는 티켓이라는 걸 분명히 느낀다”고 DW에 말했다. 7년 전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단둘이 살게 됐다는 그는 키이우에선 배달일을 하며 청소일을 한 어머니를 도왔다고 했다. 막심은 현재 난민 숙소에서 살며 독일어를 배워 대학에 진학하거나 일자리를 구할 생각이다.
이미지 확대
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키이우 독립광장에서 유명 사진작가 코스티안틴 구젠코의 장례식이 열리고 있다. 전쟁 발발 후 전선을 포함한 우크라이나 곳곳에서 전쟁의 참상을 사진으로 기록해온 구젠코는 지난 1일 전선과 가까운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에서 사망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2025.11.7 EPA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키이우 독립광장에서 유명 사진작가 코스티안틴 구젠코의 장례식이 열리고 있다. 전쟁 발발 후 전선을 포함한 우크라이나 곳곳에서 전쟁의 참상을 사진으로 기록해온 구젠코는 지난 1일 전선과 가까운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에서 사망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2025.11.7 EPA 연합뉴스
현재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출신인 22세 세르히는 나이를 더 먹으면 남성이 우크라이나에서 출국하긴 훨씬 어려워진다며 이번에 독일에 온 게 합법적 출국의 마지막 기회였다고 했다. 그는 “23~24세가 되면 자유롭게 나갈 수도 없고 숨을 곳도 없다. 군 입대가 점점 다가온다”고 말했다. 현재 우크라이나에서는 25세가 되면 군에 소집될 수 있다. 전쟁 발발 후 6번이나 거주지를 옮겨야 했다는 세르히는 “적어도 10년간은 우크라이나에 돌아가지 않겠다”고 했다.
키이우 남쪽 흐리호리우카에서 여자친구와 함께 독일에 온 18세 빅토르는 “징병 연령이 언제든 낮춰져 18세도 군대에 갈 수 있는 법을 만날 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전쟁이 무섭고 군대에 가는 게 두려워서 출국을 결심했다”고 밝혔다. 배우를 꿈꾸는 그는 언어 장벽 등 때문에 독일 적응도 쉽지만은 않다고 털어놨다.
이미지 확대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에서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전투 차량을 타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2025.10.21 로이터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에서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전투 차량을 타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2025.10.21 로이터 연합뉴스
22세 이하 남성의 출국을 허용한 정책은 우크라이나에서 찬반양론을 불러왔다. 소셜미디어(SNS)에선 출국한 남성들을 ‘탈영병’이나 ‘배신자’로 부르며 비난하기도 한다.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청소년 5명 중 1명 이상은 해외 이주를 희망하며, 52%는 우크라이나에 머무는 것을 원한다고 DW는 전했다.
이정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