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 하바롭스크 지역 후방 타격
노선 손상, 군수품 이동 차단” 주장
러·우 최근에 에너지 인프라 ‘타깃’
러, 전력시설 맹폭에 단전 이어져
우크라는 석유 저장고 잇단 공격
유튜브 캡처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GUR)이 북한의 탄약 공급을 끊기 위해 자국에서 6700㎞가량 떨어진 러시아 극동 하바롭스크 지역의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공격했다며 15일(현지시간) 공개한 철로 폭파 장면.
유튜브 캡처
유튜브 캡처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이 북한의 탄약 공급을 끊기 위해 자국에서 6700㎞가량 떨어진 러시아 극동 하바롭스크 지역의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공격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의 가장 깊숙한 후방 지역을 타격한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현지언론 키이우포스트는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GUR)이 지난 13일 러시아 하바롭스크에서 발생한 대규모 철도 폭파 사건의 공격 배후를 자처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GUR은 텔레그램 등에서 이번 공격으로 북한의 무기와 탄약 공급에 이용되는 러시아 철도 노선이 파괴돼 군수품 이동이 잠정 차단됐다고 밝혔다.
유튜브 캡처
철로 부착 폭발물.
유튜브 캡처
유튜브 캡처
북한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로켓과 탄도미사일 등 무기와 병력을 러시아에 지원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해외정보국(FISU)은 지난 7월 북한이 그동안 러시아에 포탄 650만발을 공급했으며, 사실상 러시아군의 주요 보급국가가 되고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약 9000㎞ 구간을 잇는 시베리아 횡단철도는 동부에서 우크라이나 전선까지 군사 물자를 공급하는 주요 경로다.
HUR은 “이번 공격은 러시아 군대의 물류 역량을 약화시키려는 작전의 일환”이라며 “러시아의 특수정보기관은 가장 중요한 기반 시설조차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개전 이래 4번째 겨울을 앞두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은 서로의 에너지 인프라 시설을 공격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러시아는 최근 우크라이나 전력시설에 대한 공격에 나서 현지 전기 생산이 중단되고 각지에서 단전이 이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도 러시아의 전쟁 자금 조달에 타격을 주기 위해 석유 저장고를 잇따라 공격했다.
2025-11-1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