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일본의 대형 맥주회사 5개사의 발표에 따르면 올 1~6월 맥주류(맥주, 발포주 등) 출하량은 전년동기 대비 3.6%가 줄면서 상반기 기준 6년 연속 역대 최저치 행진을 이어갔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맥주 5사의 상반기 출하량은 총 1억 8337만 상자로, 역대 가장 많았던 2001년에 비해 30% 이상 줄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2년 이후 26년 만에 가장 적은 양이다.
아사히맥주가 전년 대비 8.4% 감소한 것을 비롯해 산토리맥주가 1.2%, 삿포로맥주가 9.5% 줄었다. 기린맥주만 PB(자체브랜드) 상품 호조에 힘입어 3.3% 증가했다. 점유율은 아사히가 37.6%로 9년 연속 선두를 지켰고 이어 기린 34.0%, 산토리 16.3%, 삿포로 11.2%, 오리온 0.9% 순이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아사히가 주력인 ‘슈퍼 드라이’의 극심한 고전속에 별다른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어 기린이 1위로 치고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종류별로 맥주가 전년동기 대비 6.3% 줄어든 8823만 상자, 발포주가 8.4% 감소한 2414만 상자였다. 반면 PB 상품 등은 1.9% 늘어난 7099만 상자로 5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맥주 판매의 감소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주하이(소주+탄산음료 등), 하이볼(위스키+탄산음료 등) 등의 인기가 높아진 것이 주된 이유로 꼽힌다. 지난해 6월 도입된 주류 저가판매 규제로 슈퍼마켓 등에서 가격이 뛴 것도 맥주 소비층 이탈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렇게 시장 축소가 진행되는 가운데 슈퍼마켓, 할인점 등이 PB 상품 등 저가형 제품 취급을 확대하고 있는 것도 맥주업계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