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79% 문 대통령 불신, 한국인 94% 아베 총리 불신”

“일본인 79% 문 대통령 불신, 한국인 94% 아베 총리 불신”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9-10 18:32
수정 2020-09-10 18: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언론재단 조사...‘위안부해결되지 않았다’ 日 55%, 韓 91%

한국과 일본 시민의 상대국 정상에 대한 신뢰가 바닥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위안부, 독도 영토 등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응답 비율은 한국이 훨씬 높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10일 발간한 미디어이슈 ‘한·일 갈등에 대한 양국 시민 인식 조사’에 따르면, 문 대통령에 대해 신뢰한다는 일본인은 2.4%에 머물렀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79.2%로 집계됐다. 한국인 역시 아베 총리를 신뢰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0.9%에 그쳤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93.7%였다.

양국 시민 모두 상대 국가와 국민에 대한 호감도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시민 가운데 한국에 호감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0.8%였으며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56.7%였다. 한국 시민 중에서 일본에 호감을 가진 비율은 15.0%였고,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응답 역시 64.2%에 이르렀다.

상대 국민에 대한 호감 여부에 대해서도 일본 시민의 11.1%만 한국인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으며, 51.4%는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한국인 역시 일본인에 호감을 갖고 있다는 응답이 17.5%로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응답(48.6%)보다 적었다.

대표적 한·일 문제인 위안부 등 역사 문제, 독도 등 영토 문제 등에 관해 양국 시민 모두 해결되지 않았다는 응답이 훨씬 많았다. 다만, 일본 시민과 우리나라 시민 간 시각 차이는 컸다. ‘독도 등 영토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응답비율은 일본 시민 76.8%, 우리나라 시민 91.8%였다. 해결됐다는 일본 시민 4.7%, 우리나라 시민 2.7%에 불과했다. ‘위안부 등 역사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응답 비율은 일본 시민 55.5%, 우리나라 시민 91.0%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해결됐다는 비율은 일본 시민이 20.6%였지만, 우리나라 시민은 3.0%에 그쳤다.

아울러 현재 한·일 관계 악화에 대한 국가별 책임 여부에 대해서는 양국 시민의 견해가 갈렸다. 양국 모두 ‘서로 반반의 책임이 있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일본인은 39.8%였지만, 한국인은 75.1%로 두 배에 이르러다. ‘상대국가의 책임이 더 크다’고 응답한 비율에서는 일본이 36.7%로 한국인(16.0%)보다 많았다. 다만, ‘자국 책임이 더 크다’는 응답은 일본 시민이 23.6%, 한국 시민은 8.9%였다.

양국 관계가 악화한 이후 상대국 제품 소비에도 큰 격차를 보였다. 한국 시민 중 국내에서 벌어지는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을 알고 있는 비율은 96.5%에 달했다. 일본 제품 구매가 줄었다는 응답은 80.0%였고, 일본 콘텐츠 이용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69.4%였다.

반면, 일본에서는 한국 제품과 콘텐츠에 대한 별다른 불매 운동이 없었다. 일본 시민 중 31.1%는 최근 1년 동안 한국 제품 구매가 줄었다고 응답했고, 한국 콘텐츠 이용이 줄었다는 응답은 27.8%로 한국과 비교하면 다소 낮았다.

이 밖에도 ‘상대국은 경쟁 대상’이라고 인식한 비율은 한국은 80.8%로 높은 편이었지만, 일본은 40.8%로 절반도 안 됐다. ‘상대국은 경계 대상’이란 인식도 일본인 63%, 한국인 83%로 각각 집계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양국의 20∼69세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응답자는 한국 1000명, 일본 742명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