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무장단체, 의사당 난입·방화

리비아 무장단체, 의사당 난입·방화

입력 2014-05-19 00:00
수정 2014-05-19 07: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군’ 소행 주장…목격자 “무장세력, 2명 납치해”

리비아의 퇴역 장성이 이끄는 무장단체가 수도 트리폴리에 있는 의회를 공격했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방공포와 유탄발사기 등으로 중무장한 무장세력이 리비아 최고 정치기구인 제헌의회(GNC)를 공격한 데 이어 의사당 내부까지 난입했다.

이들은 의회에 불을 질러 연기가 건물 밖으로 치솟기도 했다.

목격자들은 무장세력이 의회 밖에서 치열한 교전을 벌인 후 의회로 통하는 주요 도로를 봉쇄했으며, 의회에서 2명을 납치했다고 전했다.

오마르 부샤흐 의원은 로이터통신에 “의회에 난입한 무장세력이 의원 사무실을 습격하고, 불을 질렀다”고 말했다.

이날 공격과 관련, 무장단체 ‘국민군’의 무함마드 알히자지 대변인은 “이슬람 과격분자를 돕고 있는 의회는 리비아 위기의 원인이다. 이슬람 민병대를 제거하기 위해 의회를 공격했다”고 밝혔다.

국민군은 퇴역 장성 칼리파 하프타르가 이끄는 무장세력이다. 특히 하프타르는 중앙정부와 의회의 통치권을 부정하면서 제2의 도시 벵가지에서 이슬람 민병대와 유혈충돌을 빚고 있다.

리비아 정부와 의회, 군은 하프타르의 무력행사에 대해 쿠데타 시도라고 비판하고 있다.

국민군은 지난 17일에도 리비아 동부 벵가지에서 군용기와 헬리콥터 등을 동원해 이슬람 무장단체가 장악한 군사기지를 대대적으로 공격했으며 이 과정에서 최소 78명이 사망하고, 141명이 부상했다.

한편 AP통신은 의회에서 수 km 떨어진 곳에서도 총성이 들려 트리폴리 시민도 서둘러 귀가했다고 보도했다.

목격자들은 국민군이 무장 장갑차를 이용해 트리폴리에 입성한 후 곧바로 의회로 향했으며, 도로에서 총격전이 벌어졌다고 전했다.

알아흐라 방송은 의회 보안요원들을 인용, 의원들이 사전에 국민군이 의회를 공격할 것이라는 경고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리비아 제헌의회는 이슬람주의 분파와 민족주의자들로 양분되어 기능이 마비된 상태다. 이에 따라 리비아 국민으로부터 지난 2011년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 축출 이후 민주화 이행 작업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서울시의회 정지웅 의원(서대문구1·국민의힘)이 북아현 3구역 재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관련법에 따라 건축심의부터 다시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북아현 3구역 재개발에 대한 건축심의 효력이 상실됐기 때문이다. 건축법 제11조 제10항에 따르면 건축심의 결과를 통지받은 날부터 2년 이내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지 않으면 건축심의는 효력을 상실한다. 조합은 2023년 7월 11일 건축심의 완료를 통지받았다. 조합은 건축심의 완료 이후인 2023년 11월 30일 서대문구에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신청했으나, 서대문구는 올해 5월 20일 조합에 이를 반려 통보했다. 서대문구는 사업시행계획서에 기재된 사업 기간이 총회 결의와 상이한 점을 문제로 봤다. 조합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가 반려되자 건축심의 유효기간 등 법적 검토를 하지 않고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서대문구청의 반려 결정을 취소하고 인가 처분을 해달라는 취지였다. 그러나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는 최종적으로 서대문구의 반려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했다. 정비 업계에 따르면 조합 측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다시 신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 의원은 현행법상 북아현 3구역 재개발의 건축
thumbnail -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