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환 노력”… 적십자에 식량 요청
EU “즉각 조건 없는 석방” 촉구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최근 공개한 생존 인질 2명의 영상에 대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심각한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고 AFP통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스라엘 총리실은 전날 밤 발표한 성명에서 네타냐후 총리가 두 인질의 가족과 통화했다며 이같이 밝히고 “총리는 모든 인질의 귀환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음을 가족들에게 전했다”고 덧붙였다. 네타냐후 총리는 또 가자지구에 억류된 인질에게 식량과 의료 지원을 제공할 것을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에 요청했다.
카야 칼라스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도 이 영상에 대해 “끔찍할 뿐 아니라 하마스의 야만성을 드러낸다”고 지적하며 “모든 인질의 즉각적이고 조건 없는 석방”을 촉구했다. 하마스는 지난달 31일부터 전날까지 가자지구에 억류 중인 생존 인질 2명의 영상 3개를 잇달아 공개했다. 이 영상에 나온 에비아타르 다비드(24)와 독일·이스라엘 이중국적인 롬 브라슬라브스키(21) 모두 갈비뼈를 드러낸 앙상한 모습이어서 영양실조 상태로 보인다고 AFP는 전했다.
반면 팔레스타인 관리들은 이날 가자지구인도주의재단(GHF)이 운영하는 배급소에 식량을 구하러 왔던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향한 이스라엘군의 발포로 최소 27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또 팔레스타인 보건 당국은 지난 24시간 동안 6명이 굶주림이나 영양실조로 숨졌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기아로 인한 사망자 수는 총 175명이 됐으며 이 중 93명이 어린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극우 성향의 이스라엘 정치인 이타마르 벤그비르 국가안보 장관이 이날 동예루살렘의 알아크사 사원을 찾아 기도해 논란이 커졌다. 이스라엘 정부 장관이 공개적으로 기도를 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벤그비르 장관은 2023년 10월 가자지구 전쟁이 발발한 이후로 알아크사 사원을 여러 차례 찾아 팔레스타인 민심을 자극했다.
동예루살렘 구시가지의 언덕에 있는 알아크사 사원은 무슬림 당국과의 ‘현상 유지’(스타투스 크보) 합의에 따라 요르단종교재단이 관리해 왔다. 유대인은 이곳을 방문할 수는 있지만 이곳에서 기도할 수는 없다. 무슬림은 이 언덕을 ‘알하람 알샤리프’로, 유대인은 ‘성전산’으로 부른다.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 3개 종교가 모두 성지로 여기며 종종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충돌의 도화선이 됐다.
2025-08-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