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밤 KBS ‘신채호… ’ 방영
광복절 하면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이 단재 신채호(1880~1936) 선생이다. 올해는 한일합병 100년이자, 신채호 탄생 130주년이기도 하다.광복절을 맞아 신채호 선생의 삶을 추적해보는 다큐멘터리가 방영된다. 단재 신채호 선생의 수감 시절 사진.
KBS제공
KBS제공
KBS는 광복절을 맞아 ‘신채호, 시대의 마음’을 13일 밤 12시에 방영한다. 신채호에 대해 알려진 것은 비타협적인 역사학자이자 언론인이었다는 것이다. 온몸이 다 젖을지라도 일제 치하에 머리를 숙일 수 없다며 고개를 빳빳하게 든 채로 세수를 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그러나 이는 신채호의 단면일 뿐이다. 민중에 의한 무장폭동을 주창한 아나키스트, 중국을 샅샅히 훑었던 민족사학자적 면모 등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반공주의, 그리고 동북아 평화를 내건 탈민족주의 바람 앞에 신채호는 부담스럽다는 것이다. 미국이 아인슈타인의 반핵주의 등 정치적 성향을 부담스러워하다 그를 실험실밖에 모르는 천재 과학자로 분칠했듯, 어쩌면 신채호 역시 ‘괴벽스러운 천재’ 정도로만 남기는 게 상책이었을 수 있다. 2009년까지 신채호가 무국적자로, 그의 무덤은 가묘 상태로 남겨져 있었던 것도 이런 정황을 반영한다.
때문에 ‘신채호, 시대의 마음’은 당시의 증언과 공판기록을 중심으로 그를 복원해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한국의 사학자 등 전문가와 함께 베이징 등 중국일대를 거쳐간 신채호의 망명루트와 유적을 따라 갔다.
신채호는 1928년 5월8일 타이완 기륭항 부근 우체국에서 체포됐다. 체포 사유는 ‘위체(爲替·환어음) 위조’. 이 혐의는 ‘동방무정부연맹’이란 단체와 관련 있다. 조선, 중국, 타이완의 무정부주의자 120명이 모인 단체다. 즉, 지식인 신채호가 붓 대신 총을 들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이게 바로 신채호가 잊힌 배경이다. 공산주의자들보다 아나키스트들을 더 두려워했던 일제 관헌의 습속을 이어받은 극우반공국가 대한민국이 신채호에게 내줄 자리는 없었다. 실제 신채호의 며느리 이덕남 여사는 1970년대 말까지도 신채호 일가라는 사실을 밝히지 못한 채 쫓기듯 살았다고 증언했다.
그의 진면목은 무엇일까. “신채호가 중국 신문에 글을 실으면 그 글 때문에 신문 발행부수가 4000~5000부가 늘었다.”는 증언이 단서다. 조선족인 최옥산 베이징 대외경제무역대 교수는 중국 지식인들을 능가했던 신채호를 증언했다.
나중에 중국의 신문화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을 주도하는 주요 학계 인사들은 물론, 중국 현대 문학의 대가 루쉰·저우쭤런 형제, 국내에도 소개된 세계적 문학자 바진 등이 신채호와 함께 했던 인물들이다. 분단으로 이젠 희미해져버린 기억이 됐지만, 신채호는 조선, 만주, 중국을 넘나들던 코즈모폴리턴이었던 셈이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8-13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