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대 전투기로 본 ‘미래의 공중전’

5세대 전투기로 본 ‘미래의 공중전’

입력 2010-12-14 00:00
수정 2010-12-1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EBS 다큐 10+ ‘미래의… ’

밀리터리 마니아라면 눈여겨볼 만한 다큐멘터리가 방송된다. EBS가 14일과 21일 오후 11시 10분에 ‘다큐 10+ 과학’ 시간을 통해 2부작 다큐멘터리 ‘미래의 공중전’을 내보낸다. 1부 ‘차세대 전투기의 등장’, 2부 ‘우주전쟁의 시작’으로 꾸려졌다. 최첨단 군사 기술의 결정체인 전투기와 그 전투기들이 벌이는 공중전을 접해볼 수 있다.

이미지 확대
현존하는 최고 전투기로는 F22 랩터가 꼽힌다. 언뜻 잘 생각나지 않는다면 영화 ‘트랜스포머’에 나오는 전투기를 떠올리면 되겠다. 2005년 이후 등장한 5세대 전투기에 속한다. 현재 5세대 전투기로는 F35 라이트닝과 러시아에서 개발한 Su47 베르쿠트 정도가 있다. 적의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 기능이 5세대의 특징. 전투기 최대의 적은 다른 전투기가 아닌 지상 레이더와 지대공 미사일로 이러한 방어체계를 뚫는 것이 5세대의 임무 가운데 하나다.

반면 한국 공군의 주력인 F15나 F16은 4세대 전투기에 해당한다. 1970년대~90년대 등장한 기종으로 요즘 전 세계 하늘을 가장 많이 누비고 있는 세대다. 그렇다면 4세대와 5세대의 차이는 어느 정도일까. F22와 F15·F16의 공중전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144대0’이라는 결과가 나왔다는 점에서 미뤄 짐작할 수 있겠다.

1부는 4.5세대 및 5세대 전투기를 중심으로 미래 전투기의 모습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본다. 주요 전투기 개발국의 전투기 개발 과정 및 개량 전망을 살펴보고 미래 전투기에 적용될 기체, 엔진, 스텔스, 무기체계, 항공전자장비, 무인전투기능 등을 분석해 본다.

랩터는 현재 한대당 가격이 2000억원을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싼 가격 탓인지 미국은 현재 187대 외에는 추가 제작을 중단한 상태다.

그런데 랩터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다. 인공 위성이 파괴된다면 전투력 손실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미래의 공중전은 필연적으로 우주 공간으로까지 확대될 수밖에 없다. 2부에서는 대기권에서 벌어지는 기존의 공중전을 비롯해 우주에서 벌어지는 전투까지 컴퓨터 그래픽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재연하며 미래의 공중전 양상을 가늠해본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12-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