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큰손 ‘씨킴’ 개인전

미술계 큰손 ‘씨킴’ 개인전

입력 2011-07-23 00:00
수정 2011-07-23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술대 안 나오면 어때 붓질에 미친 내가 좋다

악조건은 두루 갖췄다. 여기저기서 ‘큰손’을 거론할 때면 세계 200위권 안에 드는, 국제적으로도 이름 있는 미술품 수집가다. 지난 5월 홍콩 아트페어에서는 50만 달러 들여 백남준 선생 작품을 샀다. 돈? 걱정없다. 충남 천안에서 대형백화점과 터미널을 운영한다. 싱글거리며 매출액을 자랑한다. 작품에는 자화상 느낌이 가득하다. 누구를 그리든 자신이 빙의된 느낌이다. 작품 크기도 소소한 건 없다. 대부분 대작이다. 이쯤에서 결론이 나온다. 돈 많아 눈 호강하니 손이 자연스레 움직였다? 이 수군거림에는 비아냥이 한가득이다.

이미지 확대
작가 씨킴
작가 씨킴
본인도 알고 있다고 했다. 그럼에도 좋아 죽겠단다. 1년 가운데 절반을 제주 작업실에 틀어박혀 큰 캔버스 앞에 미친 듯 붓질하고 있으면 좋단다. “나도 예술가다.”라고 큰소리치고 싶은 욕망은 끓어넘치는데, 돌아오는 것은 ‘악플’보다 더 잔인하다는 ‘무플’이다. 그래도 굴하지 않는다. 뒷말이 두려워 못하는 것보다 자기처럼 솔직하고 공개적으로 하는 사람이 더 대단한 것 아니냐는 얘기다. “미술대학 안 나왔다고 안되라는 법 있습니까. 앞으로 더 열심히 해서 인정받을 때까지 할 겁니다. 돈 좀 벌었다고 도박 같은 딴짓하는 것보다 얼마나 좋습니까.”

아라리오갤러리와 천안 신세계백화점 충청점을 운영하는 ‘김창일로서’가 아니라 개인전을 열고 있는 작가 씨킴(60·CI KIM)으로서 하는 말이다. 현대미술은 아무나 할 수 있다는 점을 계속 강조하지만, 그 말 믿고 덜컥 나섰다가는 욕먹기 십상이다. 더구나 그 ‘아무나’의 손에 돈과 권력이 쥐어져 있으면, 이죽거림은 빠질 수 없는 양념이다.

그래서 썩은 토마토와 녹슨 철가루를 응용한 그림과 설치작품이 주를 이루는 이번 전시에서 가장 눈에 띄는 작품은 ‘Who can say What?’이다. 독설로 인기를 끈 미국 라디오 진행자 돈 아이머스는 대학농구팀 흑인 여자선수들을 두고 ‘곱슬머리 창녀’라 했다가 계약해지된 인물. 타임스지는 이 파문을 표지기사로 다뤘고, 씨킴은 그 잡지 표지를 캔버스에 그려둔 뒤 아이머스 입에다 ‘Who can say What?’이란 쪽지를 붙여뒀다. ‘Who’, ‘What’ 자리에 ‘씨킴’과 ‘미술’을 가져다 놔도 될 법하다. 그렇게도 못할 짓이냐, 세상을 향한 외침이다.

전시는 천안과 서울의 아라리오갤러리에서 동시에 열리고 있다. 서울전은 씨킴 개인전 사상 처음이다. 8월 21일까지. (041)551-5100, (02)723-619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7-2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