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삿포로 숲속 청설모의 모든 것

日 삿포로 숲속 청설모의 모든 것

입력 2013-02-18 00:00
수정 2013-02-1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EBS 18일밤 다큐10 +

이미지 확대
일본 북부 삿포로에 서식하는 청설모. 다람쥣과의 동물로 몸을 덮은 잿빛 갈색털이 특징이다. EBS 제공
일본 북부 삿포로에 서식하는 청설모. 다람쥣과의 동물로 몸을 덮은 잿빛 갈색털이 특징이다.
EBS 제공
일본 북부 섬 홋카이도의 삿포로. 삿포로 바로 옆에는 울창한 숲이 하나 있다. 활엽수와 침엽수가 빽빽이 들어찬 원시림인 이곳은 야생동물의 천국이다.

숲에서 나무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사는 동물은 ‘청설모’다. 다람쥣과의 하나로 몸빛은 잿빛 갈색이다. 네 다리와 귀 밑 검은색 털이 특징. 시베리아, 유럽 등에 서식하며 일본에선 홋카이도가 유일한 서식지다.

EBS는 18일 밤 11시 15분 ‘다큐10+’에서 ‘청설모의 사계절’을 다룬다. 청설모는 날카로운 발톱이 있어 미끄러운 나무줄기와 가지를 자유자재로 다닌다. 가지와 가지 사이를 뛰어넘을 때는 긴 꼬리로 균형을 잡는다. 숲의 곡예사인 셈이다. 청설모의 주된 먹이는 나뭇 가지에 열린 꽃봉오리나 견과류다. 둥지는 나무 위에 짓는다.

삿포로에 벚꽃이 만개하는 봄은 청설모에게도 새 생명의 계절이다. 암컷은 한 번에 여섯 마리까지 새끼를 낳는다. 임신 기간은 35일. 청설모는 새끼가 자라는 속도가 빨라 수시로 둥지를 옮겨 다닌다. 다른 나무 구멍으로 둥지를 옮길 때는 천적의 공격을 경계해야 한다.

삿포로의 짧은 여름엔 숲에 먹이도 풍부해지고 동물들도 활발히 활동한다. 이때 새끼 청설모들은 각자의 둥지를 짓기 시작할 만큼 자란다. 초목이 알록달록 화려한 색의 향연을 벌이는 가을이면 청설모도 다른 동물처럼 월동 준비로 분주해진다.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한 견과류를 먹어 겨울 추위와 배고픔에 대비해야 한다. 몸무게도 20%가량 늘고, 두껍고 기다란 털이 촘촘하게 자란다. 둥지는 나무껍질을 깔아 더 따뜻하게 만들고, 호두는 비상식량으로 땅속에 묻어 둔다. 겨울은 숲의 모든 생명체에게 가장 혹독한 계절이다. 나무에서 찾을 수 있는 유일한 먹이는 딱딱한 껍질에 싸인 겨울눈뿐이다. 게다가 나뭇가지가 미끄러워 천하의 청설모도 나무에서 떨어지곤 한다. 곳곳에 천적이 버티고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봄이 찾아오면 싱그러운 봄기운 속에 청설모들의 짝짓기가 시작된다. 새 생명이 태어나면서 이들의 사계절은 다시 반복된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2-1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