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슬길이 막힌 이들의 소일거리인 음악과 그림. 집안이라도 번듯하면 교양 넘치는 고급 놀잇거리라도 되련만 집안이 받쳐 주지 않으면 그마저 애달프기만 하다. 간송미술관이 봄을 맞아 오는 12일부터 26일까지 선보이는 전시는 ‘표암과 조선남종화파’전이다. 표암 강세황(1713~1791)은 벼슬길이 막히는 바람에 서른 살 즈음 처가가 있던 안산으로 내려가 30여년 동안 농사 지어 먹고 그림평 써 주며 살았던 인물이다. 그래서인지 쓸쓸한 느낌이 짙은 중국 남종화풍으로 시작해 말년에 진경산수화 발전에 기여한다. 61세에 벼슬길에 나서 72세 때 북경사신으로 발탁되고 76세 때 금강산을 유람한 덕분이다. 조선남종화를 만들었다는 현재 심사정(1707~1769) 또한 벼슬길이 막혀 평생 집 안에 틀어박혀 그림만 그린 인물이다. 그래서 이번 전시에는 현재, 표암은 물론 단원 김홍도와 긍재 김득신 등이 조선남종화풍으로 그린 그림까지 해서 작가 20여명의 작품 70여점이 나온다. 올해는 표암 탄생 300주년이다. 간송미술관 전시에 이어 국립중앙박물관이 ‘강세황: 예술로 꽃피운 조선 지식인의 삶’전을 연다. (02)762-0442.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5-0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