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불균형·불평등이 통합의 본질”

“적절한 불균형·불평등이 통합의 본질”

입력 2013-06-04 00:00
수정 2013-06-04 17: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간 ‘통합-누구와 어떻게 할 것인가’ 출판기념회서 주장

송복(76) 연세대 명예교수가 “통합의 본질은 ‘적절한 불균형’, ‘적절한 불평등’이다”고 규정했다.

송 교수는 4일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열린 신간 ‘통합-누구와 어떻게 할 것인가’ 출판기념회에서 우리 시대의 주요 화두인 ‘통합’의 본질이 잘못 이해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송 교수는 이 책의 편저자이다.

그는 “통합은 선이지만 절대 선은 아니다. 더구나 통합지상주의는 통일지상주의만큼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또 “통합은 실현의 주요 과제이기는 하지만, 그 모든 과제에 우선해서 실현돼야 할 절대적 과제는 아니다”라고 했다.

송 교수는 “너무 불평등하거나 너무 불균형한 상태가 되면 사회가 깨지지만 그렇다고 해서 통합을 너무 앞세우면 통합도 잃고 발전도 잃는다. 마침내는 성장도 없어지고 발전도 없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적절한 불균형’, ‘적절한 불평등’을 이룰 때 사회 각 부분의 기능이 최대한으로 높아진다면서 이를 보장하는 것이 자유민주주의이며 자본주의 시장경제라고 했다. ‘통합’이 반(反) 시장의 논리에 악용돼선 안된다는 것이 송 교수 주장의 핵심이다.

그는 “오로지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 시장경제만이 절대적 불균형-불평등에서 적절한 불균형-적절한 불평등으로 회귀시킬 가능성과 현실성을 늘 보여주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송 교수는 “우리 사회가 급성장하다 보니 갈등이 너무 심하다. 그러다 보니까 이명박 정부에서 사회통합위원회를 만들었는데, 그 위원회가 과연 어떤 효과를 거두었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갈등이라는 것은 참 좋은 것이다. 용암이 끓지 않는 지구는 지구가 아니듯이 갈등이 있어야 사회가 발전한다”면서 “맹자의 말씀 중에 ‘외부에 적이 없으면 망하고, 내부에 우환이 없으면 망한다’라는 말이 있다. 갈등이라는 게 병리현상이 아니라 정상적인 현상이다”고 설명했다.

출판사 북오션이 간행한 이 책에는 송 교수의 발간사를 시작으로 23명 저자의 총 24편의 글이 실렸다.

저자들은 이날 행사에서 우리가 통합을 이야기할 때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전제 위에서 논해야 하며, 이를 떠나 통합을 말하는 순간 ‘빈대 잡으려다가 초가삼간 태우는 꼴’이 되고 말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