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첫 달 착륙 위성 발사…미·러시아 이어 3번째

中 첫 달 착륙 위성 발사…미·러시아 이어 3번째

입력 2013-12-02 00:00
수정 2013-12-02 1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嫦娥·항아) 3호가 2일 달 탐사를 위한 여정에 나섰다. 창어 3호는 2일 오전 1시30분쯤(현지시각) 중국 서부 쓰촨성 시창 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됐다. 중국 측은 발사 50분쯤 지나 ‘발사 성공’을 선언했다. 

창어 3호는 중국 최초의 달 탐사차량 ‘위투(玉兎·옥토끼호)’를 비롯, 각종 달 탐사 장비를 싣고 있다. 옥토끼호는 중국 최초의 로봇 형태 무인 달 탐사차로, 달의 지형과 지질구조 탐사와 함께 각종 사진, 관측 자료를 지구로 전송할 예정이다. 옥토끼호가 예정대로 14일 달에 착륙하면 중국은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역대 3번째 달 착륙 국가로 기록된다.

앞서 중국은 달에 착륙, 실질적인 탐사를 위한 전 단계로 2007년과 2010년 달 궤도를 비행하는 위성 창어 1호와 창어 2호를 쏘아 올렸었다. 창어란 중국 신화 속 달의 여신 ‘창어’에서 따왔다. 중국은 2025을 전후에 달에 유인 우주선을 착륙시킬 계획을 갖고 있다.

다음은 중국 우주 개발 주요 일지.

 1957년 11월=중국로켓기술연구원 창설.

 1965년 9월=중국과학원 위성설계원 발족. 인공위성 설계 착수.

 1970년 4월=첫 인공위성 둥팡훙(東方紅) 1호 발사. 소련, 미국, 프랑스, 일본에 이어 5번째.

 1975년 11월=첫 회수식 인공위성 FSW-01 발사.

 1981년=최초 다중(3개) 위성 펑바오(風暴) 1호 발사.

 1984년=첫 실험용 통신위성 발사.

 1988년=최초의 기상관측 위성 펑윈(風雲) 1호 발사.

 1992년 9월=3단계 유인 우주 프로젝트 계획(921공정) 수립.

 1997년=러시아에서 중국 우주인 2명 훈련.

 1999년 11월=선저우(神舟) 1호 발사. 유인 우주선 발사 위한 4가지 실험.

 2001년 1월=선저우 2호 발사.

 2002년=선저우 3호(3월), 선저우 4호(12월) 발사. 인간모형 탑재.

 2003년 10월=최초의 유인 우주선 선저우 5호 발사. 첫 우주인 양리웨이(楊利偉) 배출.

 2005년 10월=두 번째 유인 우주선 선저우 6호 발사.

 2007년 10월=달 탐사선 창어 1호 발사.

 2008년 9월=세 번째 유인 우주선 선저우 7호 발사, 첫 우주 유영 성공.

 2010년 10월=달 탐사선 창어 2호 발사.

 2011년 9월=실험용 우주 정거장 톈궁(天宮) 1호 발사.

 2011년 11월=무인 우주선 선저우 8호 발사. 톈궁 1호와 두 차례 도킹 성공.

 2011년 11월=첫 화성 탐사선 잉훠(螢火) 1호 러시아 로켓에 위탁해 발사, 러시아 로켓 이상으로 궤도 진입 실패.

 2012년 6월=네 번째 유인 우주선 선저우 9호 발사. 첫 여성 우주인 류양(劉洋) 탑승.

 2013년 6월=다섯 번째 유인 우주선 선저우 10호 발사.

 2013년 12월=달 탐사선 창어 3호 발사. 달 탐사차 ‘옥토끼(玉兎)’ 탑재 첫 달 착륙 시도.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