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선비들은 동물을 어떻게 봤을까

조선시대 선비들은 동물을 어떻게 봤을까

입력 2014-03-21 00:00
수정 2014-03-21 09: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율곡 이이는 평생 쇠고기를 먹지 않았다고 한다. “소의 힘을 이용해 만든 곡식을 먹으면서 또 그 쇠고기를 먹는다면 과연 옳은 일이겠는가”라는 이유에서다. 박제가의 ‘북학의’에 언급된 대목이다.

이익은 ‘성호사설’에서 쇠똥구리를 묘사했다. “한 마리가 똥 덩어리를 열심히 굴리고 가면 다른 놈이 그 뒤를 따르면서 곁눈질로 어디에 감추는지 확인한 뒤 몰래 훔쳐갈 궁리를 한다”며 재미있어했다.

신간 ‘조선동물기’는 조선 선비들의 눈에 비친 동물과 곤충의 세계를 전한 책이다. 고전 전문가 김흥식 씨가 엮은 이 책은 조선시대 각종 문헌에서 동물 관련 이야기를 발췌해 묶었다. 말, 고양이, 사슴, 뱀, 명태, 복어처럼 익숙한 생물부터 파랑강충이, 가사어, 각단 등 낯선 존재까지 150여 항목으로 잘게 나눠 두루 소개한다. ‘과실나무 밑을 마음대로 지나는 말’, ‘거미가 뱀을 잡음’, ‘배를 삼키는 물고기’처럼 문헌 속 상황을 그대로 뽑아서 소개하기도 한다.

정종우 이화여대 과학교육과 교수가 항목별로 해설을 달았다.

현대 과학의 관점을 들이댄다면 황당한 부분이나 사실과 다른 내용이 꽤 눈에 띈다. 하지만 조선 선비들이 동물들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책이다.

정 교수는 “선현들이 관찰하고 고민한, 훌륭한 성과들을 우리 후손들이 공유하는 데 이 책이 작은 디딤돌 역할을 해 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서해문집. 544쪽. 1만5천원.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