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1900년 전후에 제작되고 1908년 강릉 선교장 내에 설립된 근대식 학교인 동진학교에 내걸었다고 추정되는 태극기를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25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이 태극기의 현존 형태와 역사적 유래, 4괘와 태극문양의 위치, 제작 방식, 게양 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역사성과 희귀성이 매우 높아 문화재 등록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25일 오전 서울 은평구 진관동 은평역사한옥박물관에서 개막한 ’진관사·강릉 선교장의 독립운동 태극기’전을 찾은 관람객들이 강릉 선교장 태극기를 살펴보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날 1900년 전후에 제작되고 1908년 강릉 선교장 내에 설립된 근대식 학교인 동진학교에 내걸었다고 추정되는 이 태극기를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5일 오전 서울 은평구 진관동 은평역사한옥박물관에서 개막한 ’진관사·강릉 선교장의 독립운동 태극기’전을 찾은 관람객들이 강릉 선교장 태극기를 살펴보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날 1900년 전후에 제작되고 1908년 강릉 선교장 내에 설립된 근대식 학교인 동진학교에 내걸었다고 추정되는 이 태극기를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연합뉴스
1908년 동진학교 설립을 기념해 학생들과 함께 찍은 사진 배경에는 교차 게양된 태극기가 걸려있다. 이 사진은 선교장을 소개하는 ‘선교장 가족사진첩’(열화당.1995)에 수록됐다.
문화재청은 이 중에서 왼쪽 태극기가 이번에 등록 예고하는 태극기라고 덧붙였다.
동진학교는 강릉 지방 청소년에게 근대 지식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관동학회 강릉지회 주도로 당시 선교장 주인 이근우가 1908년 자기 집인 선교장에 설립했다.
이 태극기는 옥양목 두 폭을 이음질해 가로 153㎝, 세로 145㎝로 잘라 재봉침으로 두 줄 테두리를 박아 바탕을 만들었다. 이 바탕천에서 태극문양과 건곤감리 4괘(卦)를 오려낸 다음 그 크기에 맞게 태극문양과 4괘를 메운 뒤 재봉침으로 정교하게 두 줄 박음질하여 완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제작 기법은 태극기를 처음 사용하던 1882년부터 1900년 전후로 나타나며, 게양 시 앞뒤 양면 모두에서 태극기 모양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문화재청은 밝혔다.
선교장 태극기는 1890년대 제작됐다고 알려진 데니(O.N.Denny) 태극기(등록문화재 382호)와 비교할 때 게양 방식, 4괘 위치, 바탕천을 오려낸 뒤 붙여 꿰매거나 박는 식으로 태극문양과 4괘를 넣은 점 등에서 매우 유사하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