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 먼저, 방형 나중에’… 고대 일본과 비슷

‘원형 먼저, 방형 나중에’… 고대 일본과 비슷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4-15 23:48
수정 2015-04-16 02: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축조 비밀 드러난 영암 자라봉 전방후원분

전남 영암 지역에서 6세기 전후 고대 일본 고분과 비슷한 전방후원(前方後圓)형 고분이 확인돼 한국과 일본 고고학계의 비상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봉분 정상부에서 발견된 옹관 모습.  문화재청 제공
봉분 정상부에서 발견된 옹관 모습.
문화재청 제공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대한문화재연구원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1991년과 2011년에 이어 최근 영암 태간리 자라봉 고분의 3차 발굴조사를 진행, 고분의 축조과정과 토목공법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영암 태간리 자라봉 고분은 6세기 전후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전방후원형 고분이다. 전방후원분은 시신을 묻는 공간인 봉분(封墳)은 원형으로 만들고 그 앞쪽에 방형 단을 조성해 앞은 모나고 뒤는 둥근 무덤이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악기 중 장고를 닮았다 해서 장고형 고분이라고도 한다.

연구원은 전방후원분을 어떤 순서로, 어떤 토목기술을 이용해 만들었는지를 밝히는 데 주력했다. 조사 결과 뒤쪽의 원형 봉분이 먼저 축조된 다음 앞쪽의 방형 봉분이 완성된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광주 명화동·월계동(1호분), 함평 신덕, 해남 용두리 등 그간 발굴 조사가 이뤄진 호남 지방 전방후원분과는 차이가 있다. 이들 고분은 원형 봉분과 방형 봉분이 동시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일본의 아이치 현 오오스후타고야마 고분, 오사카 부 쿠라츠카 고분, 기후 현 조비산 1호분 등과 축조기법이 비슷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원은 “한·일 고대 관계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한·일 고분문화 비교연구도 보다 활성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영암 고분은 또한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전방후원분 가운데 유일한 수혈식 석실묘(竪穴式 石室墓·수직 구덩이를 파서 반지하식 돌방으로 내부 구조를 마련한 무덤)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봉분 정상부에선 생활용 토기 2점을 맞대어 눕혀 시신을 매장한 이른바 합구식 옹관(合口式瓮棺)이 발견됐다. 옹관 내부에선 주둥이가 곧추선 작은 항아리형 토기인 직구소호(直口小壺) 1점이 출토됐고, 옹관 주변에선 덮개가 있는 잔 모양 토기인 개배(蓋杯)와 굽다리 접시 조각 등이 수습됐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4-1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