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서울신문 DB
지난 14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가 ‘청와대, 국민 품으로’ 홈페이지를 개설하면서 청와대 개방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TF는 다음달 22일까지 청와대 개방 이후 활용 방안에 대한 국민 공모를 진행한다. 박물관, 도서관, 시민 광장, 공원 등 각계각층에서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지고 있다. 여행업계에서는 서울 최대의 관광 상품이 될 것이란 장밋빛 전망도 나온다.
청와대 터는 고려 숙종 때인 1104년 무렵 남경(서울의 당시 지명)의 이궁(왕이 거둥할 때 머무르던 별궁)이 이곳에 들어서면서 역사에 등장했다. 조선시대에는 자리가 좁다고 판단해 좀더 아래쪽에 경복궁을 지었고, 청와대 자리에는 경복궁 후원을 조성했다. 후원이라고 해서 임금이 독점하는 비밀의 공간이 아니라 연무장, 과거 시험장 등으로 활용돼 지금보다 열린 공간으로 쓰였다.
임진왜란 이후 270년간 방치됐던 공간은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재건하면서 다시 살아났다. 이후 일제강점기와 미 군정을 거쳐 이승만 전 대통령이 조선총독관저(당시 경무대)에서 업무를 보면서 현재의 청와대 역할이 시작됐다.

필라델피아 독립역사공원. 미국 국립공원관리청 홈페이지 캡처
독립역사공원은 조지 워싱턴 미국 초대 대통령의 집무 공간이던 공간을 미국 독립 관련 시설·건국기념 시설 등과 연계해 만든 곳이다. 대통령 집무실을 공원으로 조성한 점을 참고할 만하다.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인 김정현 홍익대 건축도시대학 교수는 17일 “콘크리트로 지은 한옥이 보기에 따라 이상할 수는 있지만 당시 건축가들의 고민과 역사를 대하는 태도를 보여 준다”면서 “필라델피아는 건물을 새로 조성한 쪽에 가까워 오히려 청와대가 건물의 진정성이 높다”고 했다.
보스턴 프리덤 트레일은 독립혁명에 이르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유적지를 연결한 길이다. 약 4㎞의 길을 관광객들이 따라 걷도록 설계돼 있는데 연간 400만명 정도가 찾는 것으로 추산된다. 청와대도 조선 왕조의 유적지와 조화롭게 연결하면 많은 관광객이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보스턴 프리덤 트레일의 표지판. 프리덤 트레일 재단 홈페이지 캡처
문화재위원회 근대분과위원장인 윤인석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근대역사문화공간을 제안했다. 근대 시기에 형성된 역사·문화 자원이 집적된 지역을 의미하는 용어로,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돼 문화재도 보존하고 개발도 할 수 있다. 윤 교수는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지정하면 융통성도 발휘할 수 있고 사회적인 합의도 잘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며 “국가를 중심으로 한 기관이 어떻게 움직였는지 보여 주면서 경복궁 복원 사업과 연계해 차곡차곡 옛 모습을 찾아가면 어떨까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