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의금 안 낸 친구 모친상…조의금 줘야하나요?”

“축의금 안 낸 친구 모친상…조의금 줘야하나요?”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3-09-01 10:01
수정 2023-09-01 10: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결혼식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제공
결혼식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제공
한 직장인이 자신의 결혼식 때 축의금을 내지 않은 친구가 모친상을 전해왔다며 조의금을 해야 할지 고민이라는 글을 올려 화제가 되고 있다.

직장인 A씨는 1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축의금 못 받았는데 조의금 줘야 하냐”는 글을 게재했다.

A씨는 “단체 대화방에 있는 친구 한 명이 나 결혼할 때 축하한다고도 안 하고 축의도 안 했다”며 운을 뗐다.

이어 A씨는 “그런데 이번에 어머니 돌아가셨다고 부고 메시지를 올렸다. 다른 친구들은 조의금 보냈다고 하는데, 나도 보내야 하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 보낼까 하다가도 다음에 모이면 불편할 거 같기도 하고, 내가 그 친구랑 똑같은 사람 되는 것 같기도 하고 모르겠다”며 “조의한다면 5만원 정도만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씨 고민을 접한 이들은 엇갈린 의견을 내놨다.

친구의 모친상을 챙겨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은 이들은 “조의는 축의랑 달라서 챙겨줬던 사람 더 기억나고 힘 난다. 챙겨주자”, “난 결혼식은 안 가더라도 장례식은 간다” 등 반응을 보였다.

반면 “굳이 챙길 이유가 있나”, “아마 조의금 보내도 돈 아깝다고 생각할 것, 보내지 말라”, “결혼이라는 큰 행사도 안 챙길 만큼 나한테 관심도 없는 사람이다” 등 조의를 할 필요 없다는 반응도 있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