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 명 문자기와가 출토된 ‘경주 망성리 384번지 유적’ 기와가마 3호 국가유산진흥원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황룡 명 문자기와가 출토된 ‘경주 망성리 384번지 유적’ 기와가마 3호 국가유산진흥원 제공
국가유산청과 국가유산진흥원은 국비지원 발굴 조사를 진행 중인 ‘경주 망성리 384번지 유적’의 기와 가마터에서 글자가 새겨진 기와를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출토된 기와 가마터는 황룡사지에서 남서쪽으로 7㎞정도 떨어진 곳이다. 대부분 가마는 소성실과 아궁이 일부만 남아있다. 512㎡ 정도는 되는 좁은 가마 13기가 중첩되어 분포해 있는 곳이다.
진흥원 관계자는 “가마 안에서 다량의 기와 조각과 기와를 겹겹이 쌓은 흔적이 남아있어 당시 기와를 대량으로 생산하던 곳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경주 망성리 384번지 유적 가마 3호 출토 ‘皇龍’명 문자기와(왼쪽)와 탁본 국가유산진흥원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경주 망성리 384번지 유적 가마 3호 출토 ‘皇龍’명 문자기와(왼쪽)와 탁본 국가유산진흥원 제공
이번에 나온 기와는 길이 17㎝, 너비 15㎝ 정도의 작은 암키와 조각이다. 세로선 사이에 중국 한나라 때 유행한 예서풍 ‘황룡’ 글자가 좌서양각(오른쪽과 왼쪽이 바뀌어 있는 글씨가 돌출되게 표현되고 글씨가 음각된 두드림판으로 찍어 만듦)으로 표현돼 있다.
그동안 황룡이란 글씨가 쓰여 있는 기와는 과거 황룡사지 등에서 출토된 적이 있으나 가마터에서 출토된 것은 처음이다. 해당 기와가 고려시대 경주 황룡사에 실제로 공급됐음을 증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진흥원은 설명했다. 진흥원은 10세기 후기부터 13세기 전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해당 기와 외에도 주변 가마 안에서 대형 일휘문 암막새(길이 38.7, 너비 9.1㎝), 수막새(직경 20㎝), 대형 암·수키와(길이 45.5~46.5㎝)도 발견됐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