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신문 DB
대한출판문화협회(출협)은 ‘제국의 위안부’의 저자 박유하(사진) 세종대 명예교수와 출판사에 학문의 자유를 수호했다는 명목으로 특별공로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가 시민사회 단체와 시민들의 거센 비판을 받고 결국 철회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대한출판문화협회(출협)은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세종대 명예교수와 해당 책을 출판한 출판사 대표에게 ‘학문의 자유를 지켜냈다’는 명목으로 특별공로상 수여하려는 시도를 결국 포기했다.
출협은 지난 1일 오후 긴급 상무이사회의와 책의 날 한국출판유공자상 및 관련업계 유공자상 운영위원회를 소집해 박 교수와 ‘제국의 위안부’를 출판한 뿌리와이파리 정종주 대표에게 주기로 한 특별공로상을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출협은 “‘제국의 위안부’에 대해 올해 대법원판결로 11년이 넘는 절차가 마무리되면서 사법적 판단이 종결됐다”는 이유로 박 교수와 정 대표에게 공로상을 주기로 최근 결정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사실이 보도를 통해 알려지면서 시민사회 단체는 물론 출판계 내부에서도 거센 비판이 잇따랐다. 현실 법정에서는 최종적으로 무죄를 받았다 해도, 있는 역사를 부정하고 피해자들의 마음에 대못을 박은 것까지 무죄일 수는 없다는 등의 지적이었다.
이에 대해 출협은 “수상자 선정 과정에서 일제 식민 지배를 겪은 우리 국민의 고통스러운 역사와 위안부 할머니들, 또 그의 아픔에 동감하여 그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활동하고 성원해온 많은 분의 아픔과 분노를 깊게 헤아리지 못했다”며 “국민과 위안부 할머님 당사자들은 물론 함께 염려하고 활동해온 많은 분께 깊은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출협은 “향후 수상자 선정 과정에서 잘못이 반복되지 않고 국민과 출판인들의 의견이 폭넓고 올바르게 반영될 수 있도록 절차와 방법을 바로 잡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