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삶을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글이더라

여러 삶을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글이더라

입력 2022-01-02 17:00
수정 2022-01-03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2 신춘문예 단편소설 당선소감] 함윤이

이미지 확대
함윤이
함윤이
열네 살의 나는 여러 가지 삶을 살고 싶었다. 그래서 소설을 쓰기로 했다. 하나의 몸으로 다양한 삶을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같았기 때문이다.

올해의 나는 아주 많은 실패를 했다. 하루는 자리에 앉아서 1년간 맞닥뜨린 실패의 목록을 적어 보았다. 다 적고 나니 그것들이 무척 소중하게 여겨졌다.

여러 개의 삶을 스치(기라도 하)려면 여러 사람에게 폐를 끼쳐야 한다. 그 사실을 나날이 깨닫고 있다. 이 소설을 쓰는 동안에도 주위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야 했다. 그에 답해 준 은정과 슬기, 윤화, 보람, 양운석님과 용춘란님께 감사드린다.

고마운 사람들이야 끝없이 많다. 언제나 그렇다. 곳곳에서 제 삶을 씩씩하게 살아가는 가족과 친구들, 그 사람들이 건네준 선의 혹은 먹을거리 덕분에 무사히 살아올 수 있었다.

세상의 모든 좋은 글을 제쳐 두고 내 글을 먼저 읽어 주던 세윤, 그리고 몇 년 내내 지치는 기색 없이 나의 글들을 살펴준 정소영 작가에게는 어떻게 해야 이 고마움을 전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오래전 나는 서호필 선생님에게 말했다. 고작 한 명분의 삶에서도 맘대로 되지 않는 일이 너무나 많아서 무서우니 다른 이들과 마음을 주고받는 일은 관두고 싶어요. 선생님은 내 말을 듣고 조금 우셨다. 다음날 아침에는 어느 소설을 인용한 반 장짜리 글을 가져와 반 아이들 모두에게 나눠 주었다. 그 글을 모두 옮기기에는 지면이 충분하지 않다. 어쨌거나 그 글자들이 나를 녹여 주었다. 글자들은 언제나 그랬다.



■함윤이 ▲1992년 인천 출생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극작과 서사창작 전공 졸업
2022-01-03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