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업계 “SKT-헬로비전 합병 불허, 구조개혁 저해”

케이블업계 “SKT-헬로비전 합병 불허, 구조개혁 저해”

입력 2016-07-05 13:47
수정 2016-07-05 16: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방송시장 지배적 지위 강화 우려에 “경쟁 통한 서비스 개선 막아”

공정거래위원회가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의 인수합병(M&A)을 사실상 불허한 것은 두 회사가 합병하면 방송시장에서 지배적 지위가 한층 강화된다는 점이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CJ헬로비전은 케이블TV(SO) 업계 점유율 1위이고, SK텔레콤 계열 SK브로드밴드는 인터넷(IP)TV 업계 2위로, 두 회사가 합병하면 가입자 717만명에 달하는 거대 방송기업이 된다.

하지만 CJ헬로비전을 중심으로 한 케이블TV 업계에서는 이번 공정위 결정이 정부의 유료방송 정책 기조를 훼손할 뿐 아니라 업계의 자발적 구조개혁 의지를 꺾는 것이라는 등의 이유로 반발도 나오고 있다.

5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평균 가입자는 케이블TV 업계 중 CJ헬로비전이 전체 유료방송 가입자의 13.72%인 382만명으로 업계 1위다.

이어 티브로드가 점유율 11.67%로 2위를 차지했으며, 딜라이브(옛 씨앤앰) 7.23%, CMB 5.40%, 현대HCN 4.86%, 개별SO 10개사 6.64% 등의 순이다.

IPTV 업계 중에서는 KT가 전체 유료방송 가입자의 18.31%(510만명)를 점유해 1위이며, SK브로드밴드가 12.05%, LGU+가 9.09%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위성방송은 KT스카이라이프가 가입자 307만명으로 11.03%의 점유율을 보였다.

이에 따라 CJ헬로비전과 SK브로드밴드가 합병하면 지난해 말 현재로 전체 유료방송시장 점유율이 25.77%로, 특수관계자인 KT와 KT스카이라이프의 합산 시장점유율 29.34%에 이어 두번째가 된다.

여기에 지속적인 가입자 감소로 케이블TV 업계의 경영난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두 회사가 합병하면 SK텔레콤의 이동통신시장 지배력까지 더해져 유료방송시장의 지배적 지위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점도 반영됐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케이블TV 가입자는 지난 2월 말 현재 1천442만명으로, 2014년 말의 1천468만명보다 1.8% 줄었다.

2014년에는 전년의 1천485만명보다 1.1% 감소했다.

이에 비해 IPTV 가입자는 올해 3월 현재 1천264만명으로 2014년 1천84만명보다 16.6% 늘었고, 위성방송인 KT스카이라이프 가입자도 이 기간 426만명에서 431만명으로 1.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케이블TV는 지난해 방송매출이 2조2천590억 원으로 전년보다 3.7% 줄어든 반면 IPTV의 지난해 방송매출은 1조9천88억 원으로 전년보다 28.3%나 급증했다.

이런 점 등을 들어 KT와 LG유플러스(LGU+) 등 경쟁 이동통신과 지상파 업계는 두 회사의 합병에 SK텔레콤의 이동통신 분야 경쟁력까지 더해지면 방송시장 지배력이 SK계열로 집중된다는 점 등을 이유로 합병을 강력히 반대해 왔다.

실제 공정위도 이번 심사보고서에서 두 회사가 합병하면 CJ헬로비전의 전국 23개 권역 중 21곳에서 가입자 1위로, 시장 지배적 지위가 강화된다고 판단했다.

반면 공정위의 이번 결정이 정부 유료방송 정책의 일관성을 훼손하고 케이블업계의 자구노력을 저해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케이블TV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공정위 결정은 지난해 유료방송 점유율을 전국 가입자의 3분의 1을 넘지 못하도록 한 합산규제 정책을 훼손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또 “권역별 점유율을 따지는 것은 전국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IPTV 사업자보다 중소 케이블TV 업계를 더 규제하는 모순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케이블업계는 규모의 한계, 지역사업자의 한계로 가입자 감소, 매출 감소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위기 타개를 위한 구조개편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그러나 이번 인수합병 불허로 자구적인 구조개편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CJ헬로비전도 입장자료에서 “‘늑장심사 끝 불허’를 통해 조직을 두 번 위기에 빠뜨렸다”면서 “경쟁력을 잃어가는 케이블 산업 내 자발적인 구조조정을 막아 고사 위기에 몰아넣는 조치”라고 강력 반발했다.

CJ헬로비전은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이 합병하면 거대 독점 사업자가 등장하는 것처럼 얘기하지만, 실상은 양사 가입자를 합해도 KT에 이은 2위에 불과하다”며 “이미 IPTV 등 전국사업자 중심으로 재편된 유료방송 시장 흐름에서도 권역별 시장점유율 합산에 따라 경쟁을 제한한 것은 구태”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