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회 공초문학상] 공초문학상은

[제25회 공초문학상] 공초문학상은

입력 2017-06-12 23:02
수정 2017-06-13 0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공초(空超) 오상순 시인
공초(空超) 오상순 시인
“앉은 자리가 꽃자리이니라.” 공초(空超) 오상순(1894~1963) 시인이 생전 입버릇처럼 문인들에게 건넨 말이다. 모두 제 자리를 마뜩잖아하고 허욕을 부릴 때, 그는 ‘지금, 여기’가 가장 행복한 곳이라는 무욕의 깨달음을 소박한 언어로 전해 왔다.

봉양순 서울시의원, 전국 최초 ‘교량 음악분수’ 탄생…경춘철교 음악분수 개장식서 감사패 수상

서울시의회 봉양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노원제3선거구)은 지난 22일 열린 경춘철교 음악분수 개장식에서, 교량분수 설치를 위한 서울시 예산 확보와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적극적인 행정적 기여를 인정받아 노원구청으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 경춘철교 음악분수는 전국 최초로 철교 상부에 조성된 음악분수로, 중랑천을 건너던 옛 경춘선 철교의 역사성을 문화 콘텐츠로 재해석한 상징적 공간이다. 레이저 4대와 미러 기술을 결합한 연출, 고음·저음을 살린 음향 시스템, 창작곡을 포함한 21곡의 음악 퍼포먼스가 어우러진 결과로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복합형 공연 콘텐츠로 완성되었다. 봉 의원은 사업 구상 단계부터 실무 조율과 의사 결정 전반에 걸쳐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노원의 핵심 수변문화 공간 조성을 이끌었다. 특히, 2024년도 서울시 예산 30억원을 노원구로 재배정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음악분수 설치를 현실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는 단순한 예산 지원을 넘어, 지역 정체성과 주민 삶의 질을 함께 높인 대표적 성과로 평가받는다. 봉 의원은 앞서 지난 2020년, 당현천·불암교 하류 친수공간 정비사업을 통해 시비 20억 원을 확보하며 당현천 음악분수
thumbnail - 봉양순 서울시의원, 전국 최초 ‘교량 음악분수’ 탄생…경춘철교 음악분수 개장식서 감사패 수상

‘아시아의 마지막 밤 풍경’, ‘방랑의 마음’ 등 그가 세상에 남긴 50여편의 시도 삶과 닮은꼴이었다. 1920년 ‘폐허’ 동인으로 한국의 신시 운동을 이끈 그의 시에는 방랑, 고독, 허무의 정서가 짙다. 하지만 풀벌레 같은 미물마저도 우주 삼라만상의 조화가 작용한 것이라는 광대한 철학으로 허무 의식에 갇히는 데서 한발 더 나아갔다. 대한민국예술원상(1956), 서울시문화상(1962) 등을 수상했다. 1993년 첫 수상자를 낸 공초문학상은 등단 20년차 이상의 시인들이 최근 1년 이내에 발표한 작품 가운데 수상작을 가린다. 고은, 신경림, 정호승, 신달자 등 역대 수상자를 살펴보면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견고하게 일군 시인들이 주인공이 됐다

2017-06-1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