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문화재 복원 1호 유적지

금동으로 된 여근상(요니)
6일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에 따르면 한국 연구진은 지난달 13일 홍낭시다 사원의 주 신전을 해체 조사하던 중 높이 63㎜, 너비 110㎜의 금동 여근상을 발견했다. 대좌(臺座·불상을 올려놓는 대) 형태로 재질은 청동, 표면은 금으로 도금됐다. 위에는 직경 3.5㎜의 작은 구멍 5개가 있고 옆에는 물이 흘러나가는 구멍인 성수구 하나가 달렸다.
‘시가 공주의 사원’이라는 뜻의 홍낭시다 사원은 2001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참파삭 문화경관 내 왓푸 사원과 고대 주거지’에 있다. 12세기 크메르 제국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힌두 사원은 오랜 기간에 걸쳐 붕괴와 매몰이 반복돼 원형을 알아보기 힘든 상태다.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은 2013년부터 이 사원의 보존·복원 사업을 추진해왔다.
연구진은 금동 요니 상부의 5개 구멍에 각각 하나의 남근상(링가)이 안치된 형태로 보아 ‘사다링가’(Sadha Linga)라는 성물일 것으로 추측했다. 박형국 일본 무사시노 미술대학 교수는 “이 성물과 관련된 ‘사다시바’ 신앙은 라오스 왓푸와 캄보디아 앙코르 고대 교류사의 중요한 요소”라며 “금동 요니가 고대 크메르 교류사 연구의 핵심 사료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연구진은 더불어 홍낭시다 사원 만다파(의식을 준비하는 공간) 내부 기둥석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진단구(고대 사찰 건물의 기단에 나쁜 기운에 근접하지 못하도록 매장하는 물건) 유물도 발견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9-03-0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