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려 범렴 다녀감”… 울진 성류굴서 1200년 전 글씨 발견

“승려 범렴 다녀감”… 울진 성류굴서 1200년 전 글씨 발견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4-11 23:16
수정 2019-04-12 04: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굴 조사 중 일반인 출입 제한 장소서 화랑 이름 등 각석 명문 30여개 확인

신라시대 화랑·승려가 작성한 것 추정
이미지 확대
울진 성류굴에 새겨진 ‘공랑’(共郞) 글씨. 신라 원성왕 14년(798)에 이곳을 다녀갔던 화랑 이름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 제공
울진 성류굴에 새겨진 ‘공랑’(共郞) 글씨. 신라 원성왕 14년(798)에 이곳을 다녀갔던 화랑 이름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 제공
천연기념물 제155호 경북 울진 성류굴에서 1200여년 전인 신라 원성왕 14년(798)에 화랑과 승려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글씨가 발견됐다.

문화재청은 지난 3월 21일 울진군이 성류굴 종합정비계획 수립을 위해 동굴을 조사하던 중 입구에서 230m 정도 떨어진 지점에서 각석(刻石) 명문 30여개를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동굴 내부에서 명문이 발견된 것은 국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명문 발견 지역은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 장소로, 명문 중 하나는 ‘정원십사년 무인팔월이십오일 범렴행’(貞元十四年 戊寅八月卄五日 梵廉行)이었다. 정원 14년 8월 25일에 승려 범렴이 다녀갔다는 의미로, 정원(貞元)은 중국 당나라 황제 덕종(재위 779∼805)이 785년부터 사용한 연호다.

이 명문 근처에서는 ‘임랑’(林郞), ‘우’(牛) 등 화랑 이름으로 추정되는 글자도 발견됐다. 명문은 석주, 석순, 암벽에 오목새김돼 있고, 글자 크기는 다양했다. 대부분 자형이 똑바른 해서체로 쓰였지만, 약간 흘려 쓴 행서체도 일부 발견됐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성류굴이 신라시대 화랑이나 승려들이 찾아오는 유명한 명승지였으며, 수련 장소로도 활용됐음을 알 수 있다”면서 “동물 이름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화랑들이 동굴에서 의례를 치렀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성류굴에서는 이외에도 ‘신유년’(辛酉年)과 ‘경진년’(庚辰年) 같은 간지, 통일신라시대 관직 명칭인 ‘병부사’(兵府史), 조선시대 율진현령을 지낸 인물인 ‘이복연’(李復淵)이라는 글자도 확인됐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9-04-1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