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쌍릉서 문자 없는 1m 묘표석 2점 발굴

익산 쌍릉서 문자 없는 1m 묘표석 2점 발굴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9-09-19 22:18
수정 2019-09-20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백제 선화공주 설화 연관성 등 거론

이미지 확대
익산 쌍릉서 문자 없는 1m 묘표석 2점 발굴
익산 쌍릉서 문자 없는 1m 묘표석 2점 발굴
백제 선화공주, 사택덕적 딸 등 주인을 둘러싼 이견이 분분한 익산 쌍릉(사적 제87호) 소왕릉에서 길이 1m가 넘는 묘표석(墓表石) 두 점이 발굴됐다. 모양새가 전혀 다른 두 묘표석은 명문(금석에 새긴 글자)이 없는 무자비(無字碑)로, 소왕릉 피장자를 추정할 단서는 나오지 않았다.

19일 전북 익산시와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에 따르면 두 묘표석은 무덤 앞에 세우는 비석과 유사한 석비(石碑) 형태와 원뿔을 연상시키는 길쭉한 석주(石柱) 형태다. 석비형 묘표석은 길이 125㎝, 너비 77㎝로 석실 입구에서 1m 지점에서 비스듬하게 선 채로 드러났다. 둥근 석주형 묘표석은 봉토에서 누운 채로 출토됐다. 길이 110㎝, 너비 56㎝다.

최완규 마한백제문화연구소장은 “국내 왕릉급 고분에서 무자비 묘표석 두 점이 발견된 첫 사례”라며 “정밀히 조사했으나 글자는 없었다. 무덤을 축조한 석재들과 재질이 비슷하고 일부러 거대한 돌을 무덤 안에 넣을 이유가 없다는 점에서 백제시대 묘표석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조사 전부터 관심을 끈 피장자 추정 단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난해 대왕릉 조사에서는 관대 위 나무상자 안 인골이 620∼659년에 사망한 60대 남성의 뼈라는 분석 결과가 나오면서 641년 세상을 떠난 무왕 무덤이라는 견해에 힘이 실렸다. 소왕릉은 대왕릉과 180m 떨어져 있어 무왕의 비인 선화공주가 묻혔을 것이라는 추정만 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9-09-2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