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애국가 악보·군복 등록문화재

대한제국 애국가 악보·군복 등록문화재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8-12 20:36
수정 2020-08-13 01: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한제국 애국가’ 악보와 대한제국의 서양식 군복 유물이 국가등록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1902년 발행된 ‘대한제국 애국가’ 악보와 대한제국 대원수(황제)가 착용했다고 전해지는 상복, 장관급인 참장의 예복과 상복 등 근대 서양식 군복 9종을 문화재로 등록예고했다고 12일 밝혔다.

대한제국 애국가는 1901년 군악대 지휘자로 초빙돼 온 독일 음악가 프란츠 폰 에케르트가 고종의 명을 받아 이듬해 7월 1일 완성해 그해 8월 15일 애국가로 공포됐다. 국가에서 제정한 첫 애국가였으나 1910년 경술국치로 금지곡이 됐다. 육군박물관에 있는 대한제국 군복 9종은 영관급인 부령, 위관급인 부위·정위의 예복과 상복까지 병과별로 다양하게 남아 있고 상의의 의령장(衣領章), 수장(袖章)의 줄 개수와 다른 색의 천을 붙이는 방법으로 계급과 병과를 구별해 당시 군복의 특성을 잘 보여 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화재청은 아울러 안동의병 이긍연(1847~1925)의 을미의병 활동 전모와 의병 70~80명의 이름을 기록한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 1959년 건립해 6·25전쟁 이후 건축적 상황을 엿볼 수 있는 강원도 동해 북평성당도 문화재로 등록예고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8-1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