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고른 가장 잘 다듬은 말 ‘열린 쉼터’

국민이 고른 가장 잘 다듬은 말 ‘열린 쉼터’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12-20 15:04
수정 2022-12-20 16: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쉬운 우리말 쓰기’로 46개 용어 바꿔
‘영 케어러’ 등 “쉽게 바꿔야” 응답 높아

2022년 새말모임 다듬은 말 목록 사례 일부. 문체부 제공
2022년 새말모임 다듬은 말 목록 사례 일부. 문체부 제공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올 한해 동안 가장 적절히 바꾼 말로 ‘열린 쉼터(오픈 스페이스)’가 꼽혔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낯선 외국 용어를 알기 쉬운 말로 바꾸고 있다. 국어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한 새말모임을 통해 논의한 뒤 국민 수용도 조사를 거쳐 다듬은 말로 선정한다. 올해는 1~11월까지 모두 46개 용어를 다듬었다.

이 가운데 쉽게 바꾸어야 한다는 국민들의 응답률이 가장 높은 말은 ‘영 케어러’(81.9%)였다. 장애, 질병, 약물 중독 등을 겪는 가족을 돌보는 청년을 가리킨다. 국어원은 대체어로 ‘가족 돌봄 청년’을 제안했다.

두 번째로 응답률이 높은 단어는 ‘아르피에이’(80.6%)였다. 인간을 대신해 수행할 수 있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를 알고리즘화하고 소프트웨어로 자동화하는 기술로, 국어원은 ‘업무 처리 자동화’로 바꾸자고 했다. 다음으로 ‘큐레이션 커머스’(79.1% ‘소비자 맞춤 상거래’), ‘코워킹 스페이스’(78.8%, ‘공유 업무 공간)’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다듬은 말 중 적절하다는 평가를 가장 많이 받은 말은 ‘열린 쉼터’로, 응답자의 93.1%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도시 계획 과정에서 사람들에게 놀이 활동을 하게 하거나 편안함을 주고자 마련한 ‘오픈 스페이스’의 대체어다.

또 ‘민간 우주 개발’(뉴 스페이스), ‘가상 모형’(디지털 트윈), ‘현지 조달’(로컬 소싱)도 90% 이상의 호응을 받았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내년에도 어려운 용어를 잘 다듬어 국민에게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