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서체’ 만든 요절한 천재의 열정

‘바보서체’ 만든 요절한 천재의 열정

입력 2014-04-22 00:00
수정 2014-04-22 0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이소 회고전’ 아트선재센터

요절한 천재 미술가 박이소(1957~2004)를 ‘어떻게 바라보느냐’는 미술계의 영원한 숙제다.

이미지 확대
‘무제:샌 안토니오의 하늘’
‘무제:샌 안토니오의 하늘’
2004년 4월 서울 강남구 청담동 작업실에서 심장마비로 세상을 등진 작가는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일 뿐만 아니라 대안 미술 공간 운영자로 잘 알려져 있다. 기발한 작품 외에 ‘바보서체’를 만든 창작가이기도 하다.

작품들은 친숙한 소재의 재료로 구성됐으나, 난해하다 못해 때론 풋풋한 미소를 자아낸다. 긴 유리컵 속에 나무로 만든 야구 방망이를 집어넣고 시간의 흐름을 비꼬거나, 흰 종이에 간장·콜라 등으로 별을 그려 동서양 미술의 경계를 허물기도 한다. 작품 ‘무제: 샌 안토니오의 하늘’은 지붕에 담긴 4개의 광학 카메라가 지붕 아래에서 실시간으로 하늘의 모습을 생중계한다. 10여대의 대형 조명이 흰색 벽을 비추는 작품에는 ‘당신의 밝은 미래’라는 제목이 붙었다. 이 괴짜 예술가의 10주기를 맞아 그를 재조명하는 전시가 오는 6월 1일까지 서울 종로구 소격동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린다.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의 외동딸인 김선정(49) 독립 큐레이터가 지난한 과제에 도전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등을 지낸 김 큐레이터는 “1992년 미국 뉴욕에서 처음 만난 박이소는 나의 친구이자 소중한 조언자였다”고 회고했다. 1980~1990년대에 걸쳐 미국에서 활동한 박이소는 ‘박모’(Mo Bahc)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이번 전시는 2006년 삼성미술관 플라토에서 했던 개인전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굵직한 개인전이다. 생전 제대로 된 개인전 한 차례 못 치렀으나 오히려 그의 죽음 이후 작품들이 이곳저곳에서 초청받고 있다. 전시장 입구 벽은 작가가 창안한 ‘바보서체’로 쓰인 “잡초도 자란다”는 글귀가 차지한다. 작품들도 인근 공사장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시멘트 벽돌이나 스펀지, 목재 등으로 구성됐는데, 미술관 측이 생전 포트폴리오를 보고 재현했다. “일상을 예술 안으로 끌어들이려는 노력”이라는 설명이다.

작가는 생전 “삶의 공허함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자기 치료적 탈주 수단으로써 결국 나 자신을 위해 작품을 만든다”고 고백했다.

글 사진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4-2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