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는 마법의 예술…사실주의 당치도 않아

오페라는 마법의 예술…사실주의 당치도 않아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3-09 23:48
수정 2015-03-10 00: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혁명 속 비극적 사랑… 오페라 ‘안드레아 셰니에’ 연출가 스테파노 포다

“오페라는 음악으로 연출되는 마법의 예술이다. 음악을 통해 역사가 새롭게 형상화되고 역사의 다양한 면들이 생동감 있게 되살아난다.”

이미지 확대
오페라 ‘안드레아 셰니에’ 연출가 스테파노 포다는 “이번에 한국 문화에 대해 강력한 인상을 받았다. 진즉 한국 역사와 문화를 알지 못한 게 안타깝다. 귀국하면 한국 문화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려 한다”며 첫 한국 방문 소감을 밝혔다. 국립오페라단 제공
오페라 ‘안드레아 셰니에’ 연출가 스테파노 포다는 “이번에 한국 문화에 대해 강력한 인상을 받았다. 진즉 한국 역사와 문화를 알지 못한 게 안타깝다. 귀국하면 한국 문화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려 한다”며 첫 한국 방문 소감을 밝혔다.
국립오페라단 제공


이미지 확대
창조와 파격의 이탈리아 연출가 스테파노 포다의 마법이 시작된다. 국립오페라단이 오는 12~15일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국내 처음으로 선보이는 오페라 ‘안드레아 셰니에’를 통해서다. 구세계와 신세계가 교차되는 문화 격변의 역사적 상황이 음악을 통해 눈앞에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움베르토 조르다노의 명작 ‘안드레아 셰니에’는 오페라 역사상 가장 독특한 작품 가운데 하나다. 18세기 후반 유럽의 시민혁명을 배경으로 깔거나 분위기만 전하는 오페라들과 달리 직접적으로 혁명을 다루기 때문이다. 프랑스 대혁명기의 역사적 상황을 다큐멘터리처럼 세세하게 보여준다. 프랑스 대혁명기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투쟁하다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진 실존 시인 앙드레 셰니에(1762~1794)가 주인공이다. 혁명에 가담했지만 강경파들에 의해 제거되는 시인의 생애에 백작의 딸 맏달레나와의 비극적인 사랑을 가미했다. 웅장하고 강렬하면서도 유려한 선율의 음악에 탄탄한 스토리가 더해져 감동을 더한다.

포다는 이 작품이 ‘베리스모’(사실주의) 오페라의 수작으로 꼽히는 데 반발한다. 그는 “사실주의는 정보를 나열하는 것일 뿐”이라며 “전통 오페라들이 이 오페라를 사실주의 오페라라고 낙인찍은 건 음악의 힘과 오페라의 마법을 간과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시인 자체보다는 시인이 극중에서 상징하는 의미에 주목해 달라고 했다. “옛것과 새로운 것의 충돌이 핵심이다. 셰니에는 시대를 앞서간 인물인 동시에 낡은 세계에도 신세계에도 그 어떤 세계에도 완벽하게 적응하지 못하는 예술가의 영혼을 상징한다.”

무대 곳곳에도 상징적인 조형물이 배치된다. 과장된 샹들리에는 프랑스 혁명 전 귀족들의 사치와 향락을, 거대한 거미상은 혁명 이후 척박한 상황을 암시한다.

포다는 연출뿐 아니라 무대, 조명, 의상, 안무까지 오페라의 모든 걸 직접 진두지휘하는 걸로 유명하다. 이번 작품도 마찬가지다. “눈을 감으면 모든 게 다 그려진다. 한 사람에 의해 모든 게 탄생하면 작품의 전체적인 통일성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사람에게 맡길 수 없다.”

첫 방문인 한국에서도 프랑스 대혁명과 같은 급변의 역사를 체감했다고 했다. “연습이 없는 날 서울의 창덕궁을 찾았다. 조선왕조의 옛 모습이 시간이 멈춘 듯 그대로 존재했다. 그런데 밖에 나오니 현대적인 도시 풍경이 펼쳐져 있었다. 그 대비되는 모습에서 한국도 조선왕조에서 갑자기 역사가 바뀌었구나 하는 인상을 받았다.”

테너 박성규·윤병길이 안드레아 셰니에, 소프라노 고현아·김라희가 셰니에의 연인 맏달레나 역을 맡았다. 세계 유수의 오페라극장에서 다수의 작품을 공연한 이탈리아 출신 다니엘레 칼레가리가 지휘한다. 포다는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해 가장 완벽하고 아름다운 장면을 무대에 올리겠다”며 “작품을 보면서 시적이고 깊이 있는 사유를 하고, 한층 넓고 깊은 차원에서 음악이 지닌 고유의 의식과 힘도 경험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3-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